"화이자 2회 접종, 오미크론 예방효과 32분의 1 감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2일 홍콩대와 홍콩중문대 연구진이 한 달 전 화이자 백신 접종을 완료한 10명의 혈액을 채취해 실험한 결과 코로나19를 일으키는 기존 SARS-CoV-2 바이러스에 비해 오미크론 변이를 죽이는 데 있어 해당 백신의 효과가 32분의 1 이하로 떨어지는 것을 발견했다고 밝혔다고 홍콩 공영방송 RTHK가 보도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연구에 참여한 홍콩 정부 자문위원인 데이비드 후이 홍콩중문대 교수는 "우리는 백신이 여전히 중증과 사망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이라고 기대한다"며 "그렇기 때문에 백신 접종이 가능한 이는 모두 접종을 완료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연구진은 시노백 백신에 대해서도 같은 실험을 진행해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고 밝혔다.
ADVERTISEMENT
홍콩에서는 현재 오미크론 변이 환자가 5명 확인됐다. 모두 해외 유입 사례이다.
기존 백신이 오미크론 변이에 감염 예방효과가 크게 떨어진다는 점은 앞서 이스라엘과 남아프리카공화국 연구진도 확인했다.
지난 11일(이하 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이스라엘 셰바 메디컬센터와 보건부 산하 중앙 바이러스연구소는 화이자 백신에 대한 실험실 연구를 통해 "5∼6개월 전 백신 2차 접종을 마친 사람의 경우 델타 변이에 대한 중화 능력은 일부 유지됐지만, 오미크론 변이에 대한 중화 능력은 아예 없었다"고 밝혔다.
다만 연구진은 "부스터샷을 접종하면 중화 능력은 100배 증가했다"며 "델타 변이보다는 4배 낮지만 상당한 예방효과"라고 평가했다.
또 남아공 연구진은 화이자 백신이 오미크론 변이에 대해 단지 22.5%의 효능만 갖는다고 밝혔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11일 보도했다.
그러나 이들 연구진도 중증 질환에 대한 백신의 충분한 보호 능력은 계속된다고 밝혔다.
(사진=연합뉴스)
이영호기자 hoya@wowtv.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