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소기업, 주52시간제 시행에도 일감 줄어 타격 크지 않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부산상공회의소(회장 장인화)는 지난 1일부터 주52시간 근무제가 본격 적용된 지역의 5인 이상 50인 미만 기업 70여 곳에 대한 긴급 모니터링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발표했다. 현재 소기업은 2019년 기준 전체 사업체의 18%며 근로자수는 38.4%다.
ADVERTISEMENT
자동차부품을 생산하는 A사는“어느 정도 준비를 하고는 있지만 최근 업황 부진으로 일감이 크게 줄면서 잔업이 없어 자연스럽게 주52시간을 맞출 수 있다”고 말했다. 열교환기부품을 생산하는 B사도 “업황부진 탓에 오히려 단축 근무를 시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준비가 잘 된 것이 아니라 불황으로 일감이 줄어 주52시간 근무제를 적용해도 현재로서는 문제가 없다는 것이다. 지난해 12월 고용노동부 조사와 지난 4월의 고용부와 중기부, 중소기업중앙회 공동 조사결과에서 50인 미만의 조사 대상 기업 90% 이상이 주52시간제 준수가 가능하다고 응답한 것도 이와 같은 맥락으로 판단된다고 상의는 밝혔다.
ADVERTISEMENT
화학제품을 생산하는 D사도 “소기업의 여건상 일감이 일정치 않아 조업시간 조정이 어렵고, 구인난으로 추가적인 채용이 어려운 상황에서 근로시간 단축에 제대로 대응하기는 불가능하다”고 했다.
소기업에서 주 52시간제로 인해 가장 우려하는 것은 임금 감소로 인한 근로자 이탈이었다. 근로시간이 줄면서 임금 감소가 불가피하지만 이를 보전해 줄 뾰족한 방법이 없고, 외국인 근로자의 경우는 잔업 감소로 임금이 크게 줄면서 근무지 이탈 우려가 높다.
ADVERTISEMENT
현 상황에서 업황회복으로 일감이 늘어났을 때를 걱정하는 기업도 많았다. 전자제품을 생산하는 G사는 “향후 일감이 늘어나더라도 근무시간을 크게 늘릴 수 없으면 생산량 감소로 기업 경쟁력 약화가 불가피 하다”고 했다.
F사도 하루하루 일감을 예측할 수 없는 소기업의 여건상 일감이 크게 늘면 근무시간 관리가 거의 불가능해 소기업에 대한 집중적 지원책 마련을 호소했다.
ADVERTISEMENT
부산=김태현 기자 hyun@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