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오전 10시 33분께 유가증권시장에서 이마트는 전날보다 2.55% 상승한 16만1천원에 거래됐다.
ADVERTISEMENT
같은 시간 신세계도 1.08% 올랐다.
앞서 전날 이마트는 미국 이베이 본사와 이베이코리아 지분 80.01%를 3조4천404억원에 인수하는 지분 양수도 계약(SPA)을 체결할 예정이라고 공시했다.
이에 따라 신세계그룹은 G마켓·옥션·G9 등 3개 오픈마켓을 운영하는 이베이코리아를 인수해 작년 기준 온라인 쇼핑 시장 점유율이 약 15%로 쿠팡(약 13%)을 제치고 네이버(약 18%)에 이어 2위로 올라서게 됐다.
ADVERTISEMENT
이번 인수에 대해 금융투자업계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는 평가가 대체로 많은 가운데 향후 투자 부담과 경쟁 심화는 우려된다는 반응도 나온다.
이지영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중장기적으로 이마트의 자회사 가치가 크게 상승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이마트의 주가가 현저하게 저평가된 현시점을 매수 기회로 추천한다"고 밝혔다.
그는 그 근거로 ▲ 이베이의 플랫폼·정보기술(IT) 역량과 이마트의 물류·상품기획자(MD) 역량 결합 ▲ 직매입과 3자 입점업체 방식을 통합하는 '토털 커머스' 기업으로 재탄생 ▲ 쓱닷컴과 이베이코리아의 합병 및 상장 가능성 등을 제시했다.
ADVERTISEMENT
박은경 삼성증권 연구원도 "인수가격이 당초 우려보다 합리적인 선에서 결정됐고 자산 효율성 개선에 따른 평가가치(밸류에이션) 개선이 기대된다"며 이번 인수가 "이마트 주가에 긍정적일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정부의 유통업 정책도 대형마트의 새벽·휴일 온라인 배송 허용 등 이마트에 우호적으로 개선될 가능성이 있다"며 "이마트가 과거 소극적이었던 전자상거래 사업에 공격적인 투자를 시작했다는 점에서 장기적 밸류에이션 재평가(리레이팅)의 시발점일 가능성이 열려 있다"고 덧붙였다.
박종대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쓱닷컴과 이베이코리아는 물론 할인점과 트레이더스 등 온·오프라인 채널 간 시너지까지 효과는 작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ADVERTISEMENT
다만 ▲ 이자비용 증가에 따른 투자지표 훼손 ▲ 이베이코리아 시장점유율 유지·회복을 위한 단기적 마케팅비 확대에 따른 실적 불확실성 증대 ▲ 배송 인프라 개선을 위한 신규 투자 부담 등을 우려할 점으로 들면서 "기대 반 우려 반"이라고 평가했다.
박상준 키움증권 연구원은 현재 이베이코리아의 "거래액 성장률이 쿠팡·네이버보다 상당히 낮은 수준"이라며 "이베이코리아와 쓱닷컴의 (온라인) 시장점유율은 현재 2위로 추산되나 올해 또는 내년에 다시 3위로 내려갈 가능성이 크다"고 추정했다.
이어 "이마트가 이번 인수를 통해 장기적으로 전자상거래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으나, 규모 확대 효과 외의 시너지 창출을 위해서는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며 "단기적으로 거래액 성장률 개선을 통해 전자상거래 시장점유율의 방향성을 돌리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난해 자동차보험 보험손익이 4년 만에 적자 전환됐다. 자동차보험 수입 감소와 손해율 상승 등에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금융감독원이 6일 발표한 '2024년 자동차보험 사업실적(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자동차보험 매출액(원수보험료)은 20조6641억원으로, 전년(21조484억원) 대비 1.8% 감소했다.지난해 자동차보험 보험손익은 97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2020년 이후 처음으로 적자 전환했다. 보험료 수입이 감소하는 가운데 사고 건수 증가 등으로 손해액이 확대된 데 따른 것이다. 보험사들은 금융당국의 상생 금융 압박에 2022년부터 4년 연속 보험료를 인하하고 있다.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83.8%로 전년 80.7% 대비 3.1%포인트 상승했다.다만 보험사가 보험료를 운용하며 얻은 투자손익은 지난해 5988억원 흑자를 기록하면서 자동차보험 총손익(보험손익+투자손익)은 5891억원으로 집계됐다.시장 점유율을 보면 삼성화재·현대해상·DB손해보험·KB손해보험 등 대형 4사의 점유율이 85.3%를 기록했다. 메리츠화재·한화손해보험 등 중소형사 비중은 8.3%, 캐롯손해보험·악사손해보험 등 비대면 전문사의 점유율은 6.4%로 집계됐다.판매 채널별로 살펴보면 대면 판매 비중이 47.8%로 가장 높았다. 이어 △CM(온라인) 35.8% △TM(텔레마케팅) 16.0% △PM(플랫폼) 0.4% 등이 뒤를 이었다.금감원은 “보험료 인하 효과가 누적된 데다 올해 정비공임 인상(2.7%) 등의 요인으로 손해율이 더 악화할 가능성이 있다”며 "2월 발표된 자동차보험 부정수급 개선대책이 안착하도록 약관개정 등 후속 조치를 추진하고 손해율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장현주 기자 blacksea@hankyung.com
반도체 소재 국산화를 이끈 동진쎄미켐 창업자 이부섭 회장이 지난 2월 향년 85세로 별세하면서 상속세가 재차 주목받고 있다. 고(故)이부섭 회장의 동진홀딩스 지분(지난해 말 기준 55.7%)이 장남인 이준규 부회장과 차남 이준혁 부회장에게 상속될 것으로 전망되면서다. 동진홀딩스는 동진쎄미켐 지분 35.2%를 보유한 최대주주다. 신영증권에 따르면 동진쎄미켐 지분 가치 상승분을 반영한 상속세 규모는 최소 1242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이처럼 거액의 상속세를 부담해야 하는데 당장 자금을 마련하기 어렵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전문가들은 "상속 재산이 부동산이나 주식 등 현금성 자산이 아닐 경우 상속인들이 상속세를 낼 재원이 부족해 어려움을 겪는 사례가 많다"며 "이럴 때는 연부연납과 물납 등의 방법을 고려해 볼 수 있다"고 설명한다. 연부연납·물납 제도로 상속세 부담 낮춰 우선 연부연납 제도를 살펴보자. 상속세를 신고할 때 납부해야 하는 세금이 2000만원을 넘어설 경우 일정 요건을 충족하면 이 제도를 활용할 수 있다. 일종의 '할부'와 같은 개념으로 상속세를 10년 동안 나눠 낼 수 있다. 연부연납은 과세당국의 허가를 받아야 하며 신청 세액에 상당하는 담보를 제공해야 한다. 세금을 10년간 나눠 내는 만큼 연 3.1%(1일 기준)의 이자를 부담해야 한다. 납세 담보는 유가증권(국채·주식 등)과 부동산 등이다. 다만 비상장사 주식은 담보로 인정되지 않아 주의가 필요하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구광모 LG그룹 회장도 이 제도를 활용해 상속세를 냈다. 삼성가(家)는 지난 2020년 고(故)이건희 선대회장 별세 이후 2021년 4월부터 약 12조원에 달하
쿠팡은 자체 브랜드(PB) 상품을 제조, 납품하는 협력사 수가 지난해 말 기준 630곳으로 늘어났다고 6일 밝혔다. 쿠팡에 PB 상품을 납품하는 제조사는 2019년 160곳에서 2021년 380곳, 2023년 550곳으로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쿠팡은 PB 협력사들의 매출이 늘면서 협력사들의 고용 인원도 늘어났다고 했다. 쿠팡의 자체 조사 결과 중소 PB 협력사들의 지난해 매출 성장률은 전년 대비 약 20%를 기록했다. 지난 2월 말 기준 중소 협력사들의 고용인원은 2만7000명으로 지난해 초(2만3000명) 대비 약 4000명 증가했다. 쿠팡에 코인육수, 곤약젤리 등의 PB 상품을 납품하는 놀이터컴퍼니의 경우 연매출이 2019년 80억원에서 지난해 200억원으로 늘었다. 고용인원은 같은 기간 15명에서 35명으로 늘었다. 쿠팡 PB 협력사 중 90%는 중소기업이다. 경상도, 전라도 등 비서울 지역에 이들 업체 80% 가량이 위치했다. 쿠팡 관계자는 "중소 제조사들이 성장할수록 고용이 늘어나고 지역 경제까지 활성화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가겠다"고 했다. 배태웅 기자 btu104@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