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미 고용 부진 속 '안도 랠리'…다우·S&P500 최고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미 4월 고용지표 월가 예상치 하회
Fed 조기 긴축 우려 완화…기술주 상승
다우·S&P500 최고치 경신
Fed 조기 긴축 우려 완화…기술주 상승
다우·S&P500 최고치 경신

7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29.23포인트(0.66%) 상승한 34,777.76으로 장을 마감했다.
ADVERTISEMENT
다우지수와 S&P500지수는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나스닥 지수는 한때 1.4%가량 상승폭을 키웠으나 다소 줄여 장을 마쳤다.
이날 증시 개장 전 발표된 4월 미 고용 지표가 투자심리 개션 요인으로 작용했다.
ADVERTISEMENT
미 노동부에 따르면 4월 비농업 부문 고용은 26만6000명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는 월스트리트저널(WSJ) 집계 시장 예상치(100만명 증가)에 크게 못 미친 수치다.
주요 투자은행(IB)은 4월 신규 고용이 100만명을 웃돌 것으로 전망한 바 있다. 골드만삭스가 130만명, 모건스탠리 역시 125만명을 예상했다. 제프리스는 가장 많은 200만명 증가를 예상치로 제시했다. 외신은 노동력과 원자재 부족을 고용 부진 요인으로 추정하고 있다. 사업체들이 구인난과 자재난 때문에 고용을 늘리지 못하면서 지표가 예상치를 하화했다는 분석이다.
ADVERTISEMENT
4월 실업률도 6.1%로 상승해 전월(6.0%)보다 상승했다. 이는 5.8%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한 월가의 예상과 상반되는 흐름이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이날 예상에 크게 못 미친 고용 동향과 관련해 "경기 회복의 갈 길이 멀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의회에 계류된 대규모 부양안 처리를 촉구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부양법안 통과 이후 '미국 일자리 계획', '미국 가족 계획'으로 각각 불리는 총 4조달러(약 4400조 원)에 달하는 초대형 인프라 지출법안 2개를 제안한 상태다.
ADVERTISEMENT
오정민 한경닷컴 기자 blooming@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