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접종자 대비 1.29%…접종 후 사망 신고 추가 없어 누적 21명
의심증상 사례 92%, 접종 후 이틀 이내 발생
백신 이상반응 47건 늘어 총 1만347건…신규 신고 모두 경증사례(종합)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이 한창 진행 중인 가운데 접종 후 이상반응이 의심된다는 신고가 40여 건 늘었다.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추진단)은 29일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이상반응으로 신고된 신규 사례가 47건이라고 밝혔다.

ADVERTISEMENT

새로 신고된 사례는 모두 접종 후 흔히 나타날 수 있는 근육통, 두통, 발열, 오한, 메스꺼움 등 경증 반응이다.

중증 전신 알레르기 반응인 '아나필락시스'나 중증 이상반응이 의심되는 사례는 없었다.

추가 사망 신고 사례도 나오지 않았다.

ADVERTISEMENT

현재까지 신고된 사망 의심 사례는 총 21건이다.

앞서 추진단은 사인 분석이 끝난 15명의 경우 백신 접종과 무관하다고 잠정 결론을 내렸으며, 나머지 사망자도 아직 접종과의 인과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이로써 지난달 26일 백신 접종을 시작한 이후 이상반응 의심 신고는 누적 1만347건으로 늘었다.

ADVERTISEMENT

이는 국내 누적 접종자 79만9천198명(1차 접종자 79만3천966명, 2차 접종자 5천232명)의 1.29% 수준이다.

백신 종류별로 보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관련이 1만26건으로, 전체 신고의 96.9%를 차지했다.

화이자 백신과 관련한 이상반응 신고 사례는 321건(3.1%)이다.

ADVERTISEMENT

이는 1차 접종 기준으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은 사람(73만3천586명)이 화이자 백신 접종자(6만380명)보다 월등히 많은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접종자 대비 이상반응 신고율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이 1.37%, 화이자 백신이 0.49%이다.

현재까지 신고된 이상반응 사례를 보면 아나필락시스 의심 사례는 누적 101건(아스트라제네카 89건, 화이자 12건)으로, 이 가운데 아나필락시스양 반응이 95건, 아나필락시스 쇼크가 6건이다.

백신 이상반응 47건 늘어 총 1만347건…신규 신고 모두 경증사례(종합)
아나필락시스 의심 사례는 크게 아나필락시스, 아나필락시스 쇼크, 아나필락시스양 반응으로 나뉜다.

아나필락시스양 반응은 접종 후 2시간 이내 호흡곤란·두드러기 등이 나타난 경우로 증상만 보면 아나필락시스와 유사하지만, 대증요법으로 호전될 수 있어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접종 후 중증 이상반응 신고는 누적 10건이다.

이 중 경련 등 신경계 반응이 7건, 중환자실 입원이 3건으로 모두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관련 사례다.

그 밖에 전체 이상반응 신고의 98.7%에 해당하는 1만215건은 접종 후에 흔하게 나타날 수 있는 근육통, 두통, 발열, 오한, 메스꺼움 등이었다고 추진단은 전했다.

한편, 추진단이 백신 접종이 시작된 지난달 26일부터 이달 25일까지 한 달 간 신고된 이상반응 의심사례에 대해 분석한 결과 전체 사례의 92%가 접종일부터 이틀 이내에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사례의 50%가 접종 당일, 42%가 접종 다음 날 이상반응이 발생한 경우였다.

또 여성(1.54%)이 남성(0.76%)보다 이상반응 신고율이 높았고, 젊을수록 이상반응 신고를 더 많이 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 신고율은 20대 3.18%, 30대 1.62%, 40대 1.1%, 50대 0.69%, 60대 이상 0.25% 등이다.

신고 사례를 연령별로 따져보면 20대 45.0%, 30대 22.0%, 40대 15.8%, 50대 13.1%, 60대 이상 4.0% 순이었다.

접종 기관별로는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2.11%, 요양병원 0.91%, 요양시설 0.87%, 1차 대응요원 0.51%, 코로나19 치료병원 0.45%의 신고율을 보였다.

추진단은 매주 금요일 임상의사, 법의학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예방접종 피해조사반' 회의를 열어 사망 등과 같은 중증 이상반응 신고 사례와 백신 접종 간 인과관계를 분석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