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스1)
(사진=뉴스1)
유럽 국가들이 잇따라 아스트라제네카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사용을 일시 중단한다고 밝히고 있다.

11일(현지시간) AFP, 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덴마크와 노르웨이, 이탈리아, 아이슬란드 보건 당국은 이날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일시 중단했다고 밝혔다.

이는 이 백신을 맞은 일부에게서 혈전(blood clots)이 형성됐다는 보고가 나왔기 때문이다.

앞서 지난 7일 오스트리아 당국은 한 49세 여성이 아스트라제네카 코로나19 백신 접종 뒤 "심각한 응고 장애(coagulation disorder)"로 숨졌다고 밝히고 현재 백신 접종과 인과관계가 있다는 증거는 없으나 예방 차원에서 해당 제조단위(batch)의 잔여 물량은 더 유통하거나 접종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오스트리아가 사용을 중단한 것은 제조단위가 'ABV5300'인 백신으로 17개 유럽 국가에 공급됐다. 이 가운데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룩셈부르크 등 4개국은 앞서 이미 해당 제조단위 백신의 접종을 중단했다.

덴마크 당국은 이날 자국에서 오스트리아에서 사용된 것과 같은 제조단위의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은 한 60세 여성이 혈전을 형성한 뒤 사망했다면서 2주간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사용을 중단한다고 밝혔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그러나 덴마크 당국은 이는 예방적 조치라는 것을 강조하면서 현재로서는 이 백신과 혈전 사이에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는 결론을 내릴 수 없다고 덧붙였다.

노르웨이 보건 당국도 이날 우려를 나타내며 추가적인 정보를 기다리는 동안에 이 백신의 사용을 중단한다고 밝혀다. 아이슬란드도 같은 조치를 취했다.

이탈리아의약청(AIFA)도 'ABV2856'이라는 일련번호를 가진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사용을 잠정 중단하기로 했다.

이번 결정은 해당 백신 접종 후 시칠리아에서 두 건의 사망 사례가 발생한 데 따른 것이라고 ANSA 통신이 소식통을 인용해 전했다.

다만, AIFA는 이번 백신 사용 중단 결정이 예방적 차원에서 이뤄진 것으로 '심각한 부작용 의심 사례'와의 인과 관계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유럽의약품청(EMA)은 이날 성명을 통해 덴마크를 비롯한 일부 회원국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을 일시 중단한 사실을 알고 있다면서 혈전 보고와 관련해 현재 백신 접종이 이러한 질환을 초래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징후는 없다고 전날에 이어 거듭 밝혔다.

EMA는 이 백신의 이익은 계속해서 그 위험성보다 더 크며, 이 백신은 혈전 관련 사례에 대한 조사가 진행되는 동안 계속해서 접종할 수 있다는 것이 EMA 안전성 위원회의 입장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영국 정부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옹호하고 나섰다.

영국 총리실 대변인은 기자들에게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이 안전하고 효과적이라는 점은 명백하며 접종 기회가 오면 신뢰를 갖고 맞아야 한다"고 말했다.

차은지 한경닷컴 기자 chachac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