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대우, 연금 계좌 10년 수익률 분석
"개인연금, 실적배당형 상품 비중 크면 수익률 높아"
개인형 연금은 실적배당형 상품 비중이 크고 가입 기간이 길수록 수익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에셋대우는 자산규모 10만원 이상의 개인형 연금 모든 계좌 약 32만4천건을 대상으로 2011년 1월부터 올해 9월까지 약 10년간의 수익률을 분석한 결과를 3일 발표했다.

ADVERTISEMENT

수익 구간에 있는 계좌의 연평균 수익률 4% 이상 비중은 연금저축 48.3%, 개인형 퇴직연금(IRP) 42.8%, 확정기여(DC)형 24.7% 순이었다.

연금저축이 펀드 중심의 실적배당형 상품으로 운용되는 반면 DC와 IRP는 원리금 보장상품 비중이 커 상대적으로 수익률이 낮았다고 미래에셋대우는 풀이했다.

또 가입 기간이 갈수록 성과가 좋았다.

ADVERTISEMENT

DC와 IRP의 10년 수익률은 각각 연 3.23%, 연 3.1%로 5년 수익률 연 2.24%, 연 1.93%를 웃돌았다.

연금 자산을 관리할 때 직원의 컨설팅을 받는 계좌도 수익률이 다소 높았다.

5년 이상 거래하면서 1천만원 이상 적립한 수익 구간 계좌 중 연평균 수익률 4% 이상 비율은 관리자가 있는 계좌가 38.1%, 고객 스스로 운용하는 계좌가 29.7%였다.

ADVERTISEMENT

올해 3분기 말 기준 미래에셋대우 개인형 연금의 1년 공시수익률은 DC 연 4.80%, IRP 연 4.04%다.

이는 전체 43개 사업자 중 1위라고 회사 측은 전했다.

김기영 미래에셋대우 연금솔루션본부장은 "연금 수익률은 고객 노후를 결정하는 핵심 요소"라며 "실적배당형 상품을 활용한 글로벌 분산 투자를 통해 연금 수익률을 개선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