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시민단체 "산하기관 3곳 여유자금 2억8천만원 신협에만 예치" 3월 '지역금융활성화 간담회'도 농협·새마을금고 빼고 신협만 불러 평택시 "의도한 것 아냐…다른 제2금융기관 상생방안도 마련할 것"
경기 평택시가 지역 제2금융권을 돕는다면서 산하기관 여유 자금을 유독 신협에만 예치시킨 것으로 드러나 특혜 논란이 일고 있다.
ADVERTISEMENT
평택시는 올해 3월 지역 제2금융권과 시 산하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지역 금융 활성화를 위한 간담회를 열고 산하기관의 여유자금을 2금융권에 예치시킬 것을 권유했다.
시는 지정된 시 금고인 NH농협은행에만 자금을 예치할 수 있으나 시 산하기관은 이사회 의결만 거치면 거래 금융기관을 변경할 수 있다.
간담회 이후 평택시국제교류재단, 청소년재단, 복지재단 등 산하기관 3곳은 여유자금 2억8천여만원을 안중제일·평택·성동신협 등 관내 신협 3곳에 예치시켰다.
ADVERTISEMENT
은실신협에는 시 장학재단이 5천만원을 예치하기로 했으나 이사회에서 부결돼 무산됐다.
하지만 평택시가 이 간담회에 새마을금고나 단위 농협 등 다른 제2금융권은 초청도 하지 않은 데다, 유독 신협에만 자금을 예치시키도록 한 사실이 알려지자 배제된 제2금융권에선 특혜라며 반발하고 있다.
한 새마을금고 관계자는 "시 산하기관이 일반 자금을 제2금융권에도 예치시키면 좋겠다는 것은 지난해부터 지속해서 시에 요청한 사항이었다"며 "그런데도 시가 유독 신협만 불러 산하기관과 연결해준 것은 특혜라고밖에 볼 수 없다"고 지적했다.
ADVERTISEMENT
실제로 평택시는 지난 3월 간담회 당시 신협 4곳에만 참석 요청 공문을 보낸 것으로 확인됐다.
지역에서 특혜 의혹이 확산하자 시는 서둘러 언론 브리핑을 열어 사실을 왜곡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지역 시민단체인 평택시민재단은 "지난 6일 특혜 문제를 지적하는 비공개 질의서를 평택시에 보냈는데, 시는 다음날 돌연 출입 기자를 상대로 브리핑을 열었다"며 "당시 브리핑은 특혜 논란에 대해선 아무런 해명 없이 '제2금융권을 활성화하기 위해 시 산하기관 여유자금을 예치시켰다'는 물타기식 홍보 내용이 주를 이뤘다"고 지적했다.
ADVERTISEMENT
이어 "더구나 여유자금 예치의 계기가 된 지난 3월 간담회에는 신협만 불러놓고 보도자료에는 '(농협, 새마을금고 불참)'이라고 부연해 놓아 언론에서 볼 땐 단위 농협이나 새마을금고는 초청을 받았지만 오지 않은 것처럼 호도하기도 했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평택시 관계자는 "제2금융권 활성화를 위한 산하기관 여유자금 예치가 신협에만 혜택을 주게 된 것은 의도한 것은 아니었다"며 "차후 새마을금고 등 다른 제2금융권에도 상생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었다"고 해명했다.
이어 "브리핑 자료에 '농협, 새마을금고 불참'이라고 쓴 것은 간담회 자리에 없었다는 내용을 표기한 것일 뿐 초청하지 않은 것을 숨기려는 의도는 없었다"고 덧붙였다.
배우 남윤수가 성인용품 광고 영상이 자신도 모르게 게재됐다며 직접 사과했다.남윤수는 13일 자신의 인스타그램 스토리에 "오늘 저도 모르게 불쾌한 게시물이 리포스트된 것을 뒤늦게 확인했다"며 "많은 분에게 불편을 느끼게 해서 속상하고 진심으로 죄송하다, 앞으로도 더욱 주의하겠다"라고 사과했다.앞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인스타그램 리포스트 실수한 듯한 남윤수'라는 제목의 글이 게재됐다. 리포스트란 다른 사람이 올린 게시물을 자신의 계정에 다시 공유하는 것을 뜻한다.해당 글에 따르면 남윤수 인스타그램엔 여성의 신체 일부를 형상화한 오브제가 게재됐다. 영상의 워터마크를 확인한 결과 이는 성인용품 브랜드의 광고였다.남윤수는 팬들과의 대화방을 통해 "운전하고 있는데 리포스트를 확인했다"는 취지의 글을 게재했다. 그는 자신의 인스타그램이 해킹이 당한 게 아니냐고 의심했다. 또 자신의 인스타그램 캡처 사진을 공개하고 "알고리즘은 이런 것뿐이다"라며 "(리포스트) 눌린 줄 몰랐다"고 해명했다.남윤수 소속사 에이전시가르텐 관계자는 "주머니 속에 있던 핸드폰이 실수로 눌린 것으로 보인다"며 "팬들의 제보로 소속사와 남윤수가 인지하게 됐고 20여분 뒤에 삭제하게 됐다"고 설명했다.남윤수는 지난해 티빙 시리즈 '대도시의 사랑법'을 통해 성소수자 연기를 선보여 대중의 눈도장을 받았다. 올해엔 영화 '킬링타임'으로 관객을 만날 예정이다.김예랑 한경닷컴 기자 yesrang@hankyung.com
오전 6시 반부터 오픈런을 해야 할 정도로 인기를 끌고 있는 빵 뷔페에서 먹다 버려지는 빵이 수두룩한 것으로 드러났다. 남긴 음식에 대한 환경 부담금이 없어 빵을 일부만 먹거나 아예 먹지 않는 소비자가 많은 것으로 풀이된다.13일 업계에 따르면 뚜레쥬르는 'TLJ'로 리브랜딩한 강남·압구정 직영점 오픈 이벤트로 빵 뷔페 '그린 플레이트'를 운영하고 있다. 9900원에 음료 한 잔과 뚜레쥬르의 빵을 1시간 동안 무제한으로 먹을 수 있다. 강남점은 주말마다 오전 8시부터 10시 반까지 선착순 90명을, 압구정점은 평일, 주말 구분 없이 오전 7시부터 10시까지 선착순 50명을 한정해서 받고 있다.현재 TLJ 빵 뷔페는 '가성비'로 꼽히며 인기몰이 중이다. 구독자 14만여명을 보유한 빵 전문 유튜버 '빵튜브 뽀니'는 지난달 30일 TLJ 강남 직영점에서 웨이팅을 하는 영상을 올리며 "아침 6시 30부터 웨이팅이 시작됐다"며 "아침 7시부터는 줄이 어마어마하게 길어져 이 시간에 오면 늦겠다"고 말했다.빵 뷔페에서는 크림 가득 모카번, 마담 얼그레이 크림번, 과일 페스츄리 등 뚜레쥬르의 인기 제품부터 쪽파 크림 소금버터롤 등 직영점 한점 메뉴까지 맛볼 수 있다.문제는 빵 음식물 쓰레기가 소비자들의 문제의식 없이 상당히 나온다는 점이다. 해당 영상에서 빵튜브 뽀니는 같이 온 일행과 함께 "운영 방식의 아쉬운 점이 많다"며 "사람들이 한 입만 먹고 버린 빵이 엄청 많다. 정말 심하게 남기더라"고 언급했다.구독자 1만여명을 보유한 혼밥 유튜버 '독거또랭이'는 TLJ 압구정 직영점 리뷰 영상을 올리며 소비자들이 남기고 간 빵을 지적했다. "골라 먹고
송골매 출신 DJ 배철수가 라디오 방송 중 '난가병'('다음 대통령은 나인가'라는 뜻)을 언급해 다양한 해석이 나오고 있다.배철수는 지난 9일 방송된 MBC라디오 '배철수의 음악캠프'에서 "예전에도 있었는지 모르겠지만 현대인의 난치병 중 하나가 난가병"이라고 말했다.그는 이어 "이 병은 보통 사람들에게는 잘 나타나지 않고 객관적으로 자기 평가를 잘하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발명한다"며 "보통 사람들은 '아니, 난 아냐. 그럴 그릇이 못 돼'라며 주제 파악을 잘하는 걸로 이 병을 예방한다"고 설명했다.그러면서 "특정 집단의 인물들은 메타 인지 능력이 떨어져 자주 과대망상증을 보이곤 한다"고 덧붙였다.배철수의 이같은 발언은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작품상, 감독상을 받은 영화 '콘클라베'를 두고 한 말이다. 이 영화는 교황의 갑작스러운 죽음 이후 비밀회의에서 새로운 교황을 선출하는 과정을 그린 작품이다.배철수는 "'콘클라베'의 로렌스 추기경은 주변에서 하도 부추기니 '난 아니거든' 하다가 '아 난가? 정말 난가?' 하게 된다"며 "난가병에 걸린 그가 투표용지에 자기 이름을 써넣자 하느님이 '너 아니라고'라며 박살 난 천장 창문으로 응답했다"고 부연했다.아울러 "빈자리를 놓고 여기저기서 '저 자리 적임자가 난가?'라며 헛꿈을 꾸는 사람이 보인다"며 "난가병을 예방하기 위해선 자기 성찰을 잘해야 한다"고 부연했다.윤석열 전 대통령이 4일 헌법재판소의 탄핵 심판 선고에서 파면되면서 오는 6월 이른바 '장미 대선'이 치러지게 됐다. 일각에서 대통령 후보가 15명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