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 대피·차량 시위 이끈 남편 뒷받침 "자식들에게 더 나은 세상 줄 거라 믿어"
[당신의 5·18] "저는 '택시운전사'의 부인입니다"
"온몸에 유리 파편이 박히고 멍이 든 채 병원에 누워있는 남편을 보고 나서야 그동안 무슨 일을 하고 다녔는지 알았죠."
송미령(63)씨는 1980년 5·18 민주화운동 기간 광주에서 시민들을 대피시키고 택시·버스 기사들의 차량 시위를 이끈 택시기사 장훈명(67) 전 5·18 구속부상자회 부회장의 부인이다.

장씨는 영화 '택시운전사' 속 광주의 토박이 기사들처럼 불의에 맞섰고 5·18이 끝난 후에도 전두환 처벌을 요구하며 시민운동을 했다.

영화에서 다친 시민들을 병원에 옮기고 김만섭(송강호)과 피터(토마스 크레취만)에게 선뜻 숙식을 제공하고 탈출을 도운 황태술(유해진)이 장씨를 연상하게 한다.

[당신의 5·18] "저는 '택시운전사'의 부인입니다"
부산 출신인 송씨는 타향에서 남편밖에 의지할 곳 없는 어린 임산부였을 때부터 지금까지 한결같이 남편의 활동을 지지하고 뒷받침해왔다.

송씨가 기억하는 1980년 5월의 광주 시내는 최루탄 냄새가 항상 났다.

이웃들은 "학생들이 맞는다.

죽은 사람도 있다"며 도청으로 향했고 옆집 아저씨가 며칠을 안 들어왔다며 아기 엄마가 머리를 싸매고 드러눕기도 했다.

그러던 어느 날 송씨는 출근한 줄로만 알았던 남편이 병원에 실려 갔다는 소식을 들었다.

[당신의 5·18] "저는 '택시운전사'의 부인입니다"
계엄령 발포 후 도심에 차 구경하기가 힘든 탓에 산수동 집에서 대인동 병원까지 만삭의 배를 잡고 몇걸음 가다 쉬고를 반복하며 걸어갔다.

송씨는 "이불에 쌓인 그 사람 모습을 보니 너무 무섭고 어떻게 이럴 수 있나 분한 마음도 들었다"고 당시를 떠올렸다.

송씨는 "당시 부산의 친정 식구들이 나하고 연락이 안 돼 엄청 걱정했다"며 "그런데도 살면서 수시로 말해도 믿지 않더라. '어떻게 군인이 시민들을 폭행하고 죽게 하느냐'며 나더러 '여기서 물들었다'고 하더라"고 말했다.

남편은 퇴원 후에도 송씨 모르게 서울 연희동 전두환 집 앞과 국회에 찾아가 시위하기를 반복했다.

1986년부터는 동료들과 민주기사동지회를 꾸려 매년 5·18 마다 차량 시위를 재현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심전심이었을까.

송씨는 자신이 걱정할까 봐 남편이 다른 말을 하고 가는 걸 다 알고 있었다고 한다.

트라우마에 괴로워하던 남편은 택시 일도 꾸준히 할 수 없었다.

송씨는 돌도 안 된 아기를 업고 일하며 남편과 함께 투쟁하는 동료들에게 밥을 싸 보내면서 묵묵히 응원했다.

봉투 붙이기부터 옷 판매, 식당 일까지 갖은 고생을 했지만 찬조금과 따뜻한 밥 한 끼까지 챙기며 5·18 책임자 처벌을 요구하는 남편과 동료들의 투쟁 지지대 역할을 했다.

남편은 1991년 시위 중 전경들에게 구타당해 숨진 강경대 학생의 관을 정부가 광주에 못 들어오게 하자 맨몸으로 길을 뚫고 온 날에서야 부인에게 처음으로 자신이 한 일을 이야기하기 시작했다.

[당신의 5·18] "저는 '택시운전사'의 부인입니다"
인터뷰 내내 부인의 주변을 몇차례나 오가던 장씨는 "나같이 고생시킨 사람 없지"라며 멋쩍은 위로를 건넸다.

송씨는 그 시절로 돌아간다면 제발 나가지 말라고 남편을 붙잡고 싶다면서도 "당시에도 이 사람이 하는 일이 옳은 일이라고 생각했다"고 회고했다.

그는 "우리 자식들이 살아갈 세상을 더 낫게 만드는 일이라고 여겼다.

남편이 허투루 행동하는 사람이 아니어서 나 역시 함께했던 것"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5·18 40주년을 앞두고 송씨는 "살아보니 용기 내는 것만큼 초심을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더라. 대동 정신이 대단한 게 아니다.

자기 이익만 좇지 말고 이웃의 아픔을 함께 나눌 줄 아는 사람들이 더 많아졌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