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29번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환자가 다녀간 고대안암병원 응급실 입구에 폐쇄 관련 안내문이 붙어 있다.(사진=연합뉴스)
국내 29번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환자가 다녀간 고대안암병원 응급실 입구에 폐쇄 관련 안내문이 붙어 있다.(사진=연합뉴스)
국내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코로나19) 29번째 확진환자(82·남)의 불분명한 감염경로를 놓고 당국이 긴급 역학조사에 들어갔다. 이번 확진자는 해외를 방문한 이력이 없고 정부가 접촉자로 분류해 관리하던 경우가 아니어서 방역망에 구멍이 뚫린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17일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29번 환자는 지난 15일 오전 11시46분쯤 가슴 통증 증세를 호소하며 고대안암병원 응급실을 내원했다.

응급실 방문 당시 심근경색증이 의심돼 엑스레이(X-ray) 검사를 받았고 오후쯤 받은 컴퓨터단층촬영(CT) 검사에서 폐렴 증상이 확인돼 응급실 옆에 위치한 음압격리병상으로 옮겨졌다.

이후 16일 오전 1시쯤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뒤 오전 1시 45분~2시쯤 서울대병원으로 이송됐다. 이 환자는 고대안암병원에 14시간 정도 머물렀지만 엑스레이 검사 직후 병원 측의 신속한 격리조치로 노출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었다.

짧은 시간이나마 29번 환자와 접촉한 의료진 36명은 자가격리에 들어갔다. 병원에 따르면 접촉자로 분류된 환자 6명은 원내 1인실에 격리상태로 전해졌다.

29번 환자는 서울 종로구에 거주했던 것으로 파악됐으며 고대안암병원을 가기 전 동네 의원 두 군데를 거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로선 어디서, 누구에게 감염됐는지 오리무중이다.

보건당국이 가장 우려하던 감염원을 알 수 없는 사례가 될 수도 있어 지역사회 우려가 커지는 상황이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29번 환자는 여행력이 없으며 심근경색증 같은 가슴 통증으로 진료를 받았기 때문에 (외부) 노출이 어느 정도 발생한 것으로 보고 현재 폐쇄회로(CC)TV 분석과 동선 파악 등을 하며 노출자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어디가 감염원이고 감염경로인지 역학조사를 하고 판단한 뒤 밝히겠다"고 덧붙였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