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우한 폐렴) 사태는 후진성을 못 벗어난 중국의 민낯을 여지없이 보여줬다. 국내총생산(GDP)이 미국의 70% 수준으로 급성장했음에도 정치·사회·문화 전반은 여전히 명령·통제로 작동되고 있음도 여실히 드러냈다.

중국 정부와 공산당의 우한 폐렴 대응은 민주국가에서는 보기 힘든 억압적·독재적 방식으로 점철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이상 감염자가 대량 발생했다”는 소식을 SNS로 처음 알린 의사를 괴담유포자로 체포하고 진실 은폐에 급급했다. 우한시는 확진자 120여 명, 사망자 2명이 나온 상황에서 4만 명이 운집하는 춘제행사를 대대적으로 홍보하기도 했다. 시진핑 국가주석이 ‘전염병과의 전쟁’을 선포하고서야 ‘사람 간 전염’이 인정됐고, 전면봉쇄령 등 대응책이 쏟아졌다.

여론과 언론 통제도 상상 이상이다. 중국 당국은 상업매체에까지 정부의 활동과 성과에 기사 초점을 맞출 것을 요구했다. 부정적 기사와 글을 인터넷에서 싹 지워내다보니 온갖 미확인 소식이 난무하고 있다. ‘우한병원 응급실은 영안실 수준’이라는 폭로가 나왔고, 확진자와 사망자가 각각 15만 명과 2만 명을 웃돈다는 그럴싸한 정보가 빠르게 확산하며 세계인을 불안으로 몰아넣고 있다.

추한 중국의 민낯은 우리나라에 양국 관계 속도조절과 재설정이라는 과제를 던지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2년 전 방중 시 ‘중국은 대국·높은 산봉우리, 한국은 작은 나라’라며 두 나라를 ‘운명공동체’로 규정했다. 하지만 전세기 운항, 대변인 담화 등에서 일본을 배려하면서도 한국에는 무례를 서슴지 않는 중국을 진정한 친구라고 할 수 있는지 냉정하게 돌아볼 시점이다. 중국산 부품 하나가 수급차질을 빚자 국내 자동차 생산라인이 전면 중단될 위기에 처한 현실은 높은 경제적 의존을 줄여나가야 할 필요성도 다시 한 번 일깨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