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본 "발병 시점 변경으로 환자 사례 분류 변동"…3차감염 가능성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우한 폐렴) 여섯 번째 환자가 세 번째 확진자와 1시간 30분가량 같이 한 테이블에서 식사하고도 애초에 일상접촉자로 분류되면서 방역에 '허점'이 생긴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잘못된 환자 분류가 바이러스의 지역사회 전파·감염 위험을 키웠다는 것이다.

31일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확진 환자의 접촉자는 노출 시간, 위험도 등에 따라 밀접접촉자와 일상접촉자로 나뉜다.

과거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 당시에는 환자와 2m 이내 머무른 사람 등을 밀접접촉자로 분류했다가 기계적 기준이라는 지적이 있어 현재는 역학조사관이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나눈다.

환자와 얼마나 오랜 시간 함께 있었는지 당시 환자가 마스크를 착용했는지 여부 등이 선별 기준으로 활용된다.

자택에 자가 격리되는 밀접접촉자와 달리 일상접촉자는 능동감시 대상자로 보건소의 모니터링만 받는다.

격리되지 않은 상태기 때문에 일상생활도 가능하다.

6번 환자는 3번 환자의 일상접촉자로 분류돼 보건당국으로부터 별다른 제약을 받지 않았고, 사실상 평소와 다름없이 생활했을 것으로 보인다.

6번 환자의 접촉자에서 확진자가 나오는 3차 감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약 1시간 반 동안 같은 테이블에서 식사했다면 밀접접촉자로 판단해 자가격리하는 게 합당했던 조치"라고 아쉬움을 드러냈다.

질본은 3번 환자의 역학조사 과정에서 발병 시점이 변경된 데 따라 접촉자 분류에 일부 혼동이 있었다고 해명했다.

3번 환자는 질본의 역학조사 결과 증상이 발현된 시점이 22일 저녁 7시에서 오후 1시로 6시간가량 앞당겨졌다.

질본 관계자는 "역학조사 과정에서 발병 시점이 변경돼 사례분류가 변동됐다"고 말했다.

당초 일상접촉자였던 6번 환자는 뒤늦게 밀접접촉자로 분류가 바뀌었다는 것이다.

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6번 환자의 경우 3번 환자의 발병 시점 변경에 따라 (사례 분류에서) 일부 혼동이 있을 수밖에 없던 상황"이라며 "그나마 증상이 가벼운 초기 감염 상태에서 확인된 사례"라고 말했다.
'같이 밥 먹었는데' 일상접촉자된 6번환자…방역 허점 되나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