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통합신공항 이전부지 선정을 위한 주민투표가 21일 시행되면서 대구·경북의 공간 구조가 약 60년 만에 바뀌는 대변화가 본격 시작된다.

통합신공항 선정·서대구역세권 개발·시청사 이전…대구·경북 경제, 중심 축이 바뀐다
대구시는 2021년 개통 예정인 서대구KTX역을 포함한 서대구역세권 개발사업을 2026년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 중구에 있는 시청사도 지난해 말 달서구 옛 두류정수장 부지에 2025년까지 건설하기로 확정했다. 시청사 유치 경합을 벌인 중구의 현 시청사와 북구의 옛 경북도청 자리도 개발 대상으로 부상했다. 김진상 시 통합신공항추진본부장은 “대구·경북 역사상 최대 규모인 4~5개 대형 사업이 2025년을 전후해 추진되면서 최소 30조원 이상의 돈이 대구·경북에서 돌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대구시와 경상북도는 21일 통합신공항 이전후보지인 군위군 우보면(단독후보지)과 의성군 비안면·군위군 소보면(공동후보지)에 대해 주민들의 찬반을 묻는 주민투표를 한다. 주민투표 후 해당 자치단체장이 유치 신청을 하면 이전부지선정위원회(위원장 국방부 장관)가 심의 의결해 최종부지를 선정한다. 2026년께 완공될 대구경북통합신공항은 현재 대구공항부지 6.93㎢(약 209만 평)의 2.2배인 15.3㎢(약 463만 평)다. 사업비 약 9조원이 투입된다.

통합신공항은 2013년 제정된 군공항이전특별법에 따라 기부대양여방식으로 건설되는 전국 첫 사례로 군공항이 있는 수원 광주 등 전국적인 관심을 받고 있다. 기부대양여방식은 대구시가 새로운 기지를 옮겨지어 국가에 기부하는 대신 기존 부지를 국방부로부터 넘겨받아(양여) 개발해 기지건설비를 마련하는 방식이다. 공항이전은 1936년 건설된 군공항 활주로에 1961년 민항기가 취항한 지 59년 만에 추진하는 사업이다.

대구시와 인접한 지방자치단체의 개발에 대한 기대도 커지고 있다. 시와 도는 공항을 중심으로 한 공항철도, 배후도시, 항공클러스터, 대구·경북 관광인프라 등 공항경제권을 만들어 100년 대계를 위한 그림을 마련하기로 했다.

시는 지난해 10월 4차 국가철도망(2021~2030년)에 대구와 대구경북통합신공항을 연결하는 공항철도를 반영해 달라는 건의문을 국토교통부에 제출했다. 도는 이전 후보지 가운데 탈락지역에 8000억원을 투자하는 항공클러스터 조성을 검토하고 있다. 고도제한과 소음피해를 받아온 대구도 새 시대를 맞게 됐다. 고도제한과 소음피해가 큰 비행안전 5·6구역만 72㎢에 달해 대구의 동·북·수성구의 스카이라인이 크게 바뀔 전망이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공항이 이전하는 지역을 세계적인 수변도시이자 스마트시티로 건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오창균 대구경북연구원장은 “경제권 통합에 상응하는 미래를 위해 대구·경북 행정 통합 연구도 시작했다”고 말했다.

대구=오경묵 기자 okmoo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