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준비생 10명 중 4명이 공기업 입사를 준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사진=게티이미지
취업준비생 10명 중 4명이 공기업 입사를 준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사진=게티이미지
대학을 졸업한 취업자 3명 가운데 1명은 대학 졸업장이 필요하지 않은 직장에 취직했다는 연구 결과다.

2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하향취업의 현황과 특징'이라는 제목의 보고서에 따르면 대졸 취업자 수 대비 하향취업자 수로 정의한 하향업률이 2000년대 들어 꾸준히 늘어나면서 최근에는 30%를 웃돌고 있다.

하향취업은 취업자의 학력이 일자리가 요구하는 학력보다 높은 경우다. 요구되는 학력에 걸맞은 일자리를 구하면 적정 취업이다. 쉽게 설명해 대졸 학위가 필요하지 않는 매장 판매직이나 서비스직에 대졸자가 종사하는 경우다.

연구진이 경제활동인구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00년 22∼23%였던 하향취업률은 올해 9월엔 30.5%로 상승했다.

한국은행 조사국의 오삼일 과장과 강달현 조사역은 "시기별로는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하향취업률이 큰 폭으로 증가했고 이후 상승세가 더 가팔라지는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고학력 일자리 수요가 대졸자 공급을 따라가지 못하는 노동시장의 구조적인 수급 불균형을 반영한 것"이라며 "2000∼2018년 중 대졸자는 연평균 4.3% 증가한 반면 적정 일자리는 2.8% 증가하는 데 그쳤다"고 부연했다.

대학 전공별로는 인문·사회, 예체능, 이공계열에서 하향취업률이 30% 내외로 높았다. 반면 의약·사범계열이 10% 이내로 낮았다.

하향취업자 가운데 85.6%는 1년 후에도 하향취업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이 중 4.6%만 적정취업으로 전환했다.

이는 일자리 사다리가 원활하게 작동하지 않았다는 의미로 이 같은 노동시장의 문제는 청년층이 노동시장에 진입할 때 신중한 태도를 취하도록하는 요인이라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직업교육 강화, 과도한 스팩요구 완화 등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다.

보고서는 "하향취업 증가에 따른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노동 공급 측면에서 직업교육을 강화하고 필요 이상의 고학력화 현상을 완화해야 한다"며 "또 노동시장 제도를 개선해 직업 간 원활한 노동이동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yisr020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