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는 중소형주 살 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앵커>
미중 협상이 물살을 탄 가운데, 금융투자업계는 다음 투자 전략 구성이 한창인데요.
자세한 내용 취재기자와 알아보겠습니다.
증권부 이민재 기자 나왔습니다.
<앵커>
얼마 전 연말과 내년 코스피 상단에 대해서 짚어봤는데요. 증시 하단에 대해서는 어떤가요?
<기자>
네, 맞습니다.
상승에 대해서는 기대감이 크긴 하지만 남은 변수로 가는 과정이 순탄치 않단 분석을 내놓은 바 있는데요.
그럼에도 증시 하단에 대해서는 가장 큰 변수인 미중 무역 분쟁이 해결 실마리를 찾았다는 점에서 안정적이란 분석이 점차 자리를 잡고 있습니다.
소위, 하방 경직성이 높아졌단 평가입니다.
<앵커>
그렇다면 이에 맞는 전략이 필요해 보이는데, 대형주 보단 중소형주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의견이 나옵니다.
<기자>
코스피가 외국인 매수 전환에 상승세를 보였는데, 삼성전자, SK하이닉스가 사흘째 신고가를 새로 쓰는 등 쏠림 현상이 컸습니다.
이렇다 보니 대형주에 비해 중소형주가 소외받았단 평가가 나옵니다.
다만, 2단계 무역 합의 등 여러 수순이 남은 것을 볼 때, 단기 전략의 필요성이 제기되는데요.
상대적으로 무역협상 기대감이 반영되지 않고 주가 낙 폭이 과도했던 코스피 중소형주가 돋보일 수 있단 설명입니다.
미중 무역협상을 가장 잘 보여주는 `위안과 달러 환율`에서 중국이 위안화 평가 절하로 소위 `환율 방어`를 하고 있었는데요.
이번 합의로 위안화 절상이 나올 수 있는데, 그 절상에 따른 지수 상승 기대가 중소형주에 적게 반영됐단 분석입니다.
반도체, 건강관리, IT하드웨어, 호텔, 화학 IT가전 업종이 수혜 업종으로 꼽히는데, 위안화 절상 기간에 업종 지수가 상승했던 비율과 관련 수익률이 높았던 게 근거입니다.
<앵커>
이익 대비 수익률은 어떤가요?
<기자>
대형주와 비교해 이익이 늘었음에도 수익률은 저조하단 설명입니다.
유진투자증권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 이후 코스피 중소형주 12개월 선행 영업이익 컨센서스(시장 추정치)가 는 코스피 대형주 컨센서스와 비교해 각각 18%포인트, 47%포인트 증가했습니다.
하지만, 수익률은 그렇지 않습니다.
대형주 대비 각각 16%, 15% 하락했습니다.
이런 점에서 중소형주의 이익 낙수 효과가 기대된단 분석입니다.
이와 관련해서 중소형주 영업이익 컨센서스가 높아지고 있는 종목으로 반도체, 건강관리, 호텔 IT하드웨어, 화장품, 화학 업종이 거론되고 있습니다.
<앵커>
미중 무역협상 경과에 따른 업종 투자 전략도 중요한데, 증권가의 분석은 어떤가요?
<기자>
일단은 이익 호전으로 코스피 상승을 주도할만한 종목으로 반도체, 건강관리, 조선, 소프트웨어, 화장품, 의류가 꼽힙니다.
미중 협상에 상관없이 주도주 역할을 할 수 있단 분석입니다.
수익성 전망이 개선됨에 따라 주가 상승 잠재력이 있는 업종으로는 에너지, 자동차 부품, 유틸리티 등이 거론되는데, 단기보단 중장기로 `저점 매수` 전략이 필요하단 의견이 우세합니다.
또 전문가들은 단기 투자 전략도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이런 점에서 미중 무역협상 기대감이 선 반영된 은행, 디스플레이, 보험, 철강 업종이 도드라집니다.
또 낙 폭이 크지만 이익 개선에 대한 확인 필요한 업종으로 화학, 비철금속, 필수소비, 증권, 소매유통, 운송 업종을 제시했습니다.
이익 개선에 대한 추이를 봐야 한다는 점에서 단기 시각으로 살펴야 한단 분석입니다.
<앵커>
네, 잘 들었습니다.
이민재기자 tobemj@wowtv.co.kr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미중 협상이 물살을 탄 가운데, 금융투자업계는 다음 투자 전략 구성이 한창인데요.
ADVERTISEMENT
증권부 이민재 기자 나왔습니다.
<앵커>
ADVERTISEMENT
<기자>
네, 맞습니다.
ADVERTISEMENT
그럼에도 증시 하단에 대해서는 가장 큰 변수인 미중 무역 분쟁이 해결 실마리를 찾았다는 점에서 안정적이란 분석이 점차 자리를 잡고 있습니다.
소위, 하방 경직성이 높아졌단 평가입니다.
ADVERTISEMENT
그렇다면 이에 맞는 전략이 필요해 보이는데, 대형주 보단 중소형주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의견이 나옵니다.
<기자>
코스피가 외국인 매수 전환에 상승세를 보였는데, 삼성전자, SK하이닉스가 사흘째 신고가를 새로 쓰는 등 쏠림 현상이 컸습니다.
이렇다 보니 대형주에 비해 중소형주가 소외받았단 평가가 나옵니다.
다만, 2단계 무역 합의 등 여러 수순이 남은 것을 볼 때, 단기 전략의 필요성이 제기되는데요.
상대적으로 무역협상 기대감이 반영되지 않고 주가 낙 폭이 과도했던 코스피 중소형주가 돋보일 수 있단 설명입니다.
미중 무역협상을 가장 잘 보여주는 `위안과 달러 환율`에서 중국이 위안화 평가 절하로 소위 `환율 방어`를 하고 있었는데요.
이번 합의로 위안화 절상이 나올 수 있는데, 그 절상에 따른 지수 상승 기대가 중소형주에 적게 반영됐단 분석입니다.
반도체, 건강관리, IT하드웨어, 호텔, 화학 IT가전 업종이 수혜 업종으로 꼽히는데, 위안화 절상 기간에 업종 지수가 상승했던 비율과 관련 수익률이 높았던 게 근거입니다.
<앵커>
이익 대비 수익률은 어떤가요?
<기자>
대형주와 비교해 이익이 늘었음에도 수익률은 저조하단 설명입니다.
유진투자증권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 이후 코스피 중소형주 12개월 선행 영업이익 컨센서스(시장 추정치)가 는 코스피 대형주 컨센서스와 비교해 각각 18%포인트, 47%포인트 증가했습니다.
하지만, 수익률은 그렇지 않습니다.
대형주 대비 각각 16%, 15% 하락했습니다.
이런 점에서 중소형주의 이익 낙수 효과가 기대된단 분석입니다.
이와 관련해서 중소형주 영업이익 컨센서스가 높아지고 있는 종목으로 반도체, 건강관리, 호텔 IT하드웨어, 화장품, 화학 업종이 거론되고 있습니다.
<앵커>
미중 무역협상 경과에 따른 업종 투자 전략도 중요한데, 증권가의 분석은 어떤가요?
<기자>
일단은 이익 호전으로 코스피 상승을 주도할만한 종목으로 반도체, 건강관리, 조선, 소프트웨어, 화장품, 의류가 꼽힙니다.
미중 협상에 상관없이 주도주 역할을 할 수 있단 분석입니다.
수익성 전망이 개선됨에 따라 주가 상승 잠재력이 있는 업종으로는 에너지, 자동차 부품, 유틸리티 등이 거론되는데, 단기보단 중장기로 `저점 매수` 전략이 필요하단 의견이 우세합니다.
또 전문가들은 단기 투자 전략도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이런 점에서 미중 무역협상 기대감이 선 반영된 은행, 디스플레이, 보험, 철강 업종이 도드라집니다.
또 낙 폭이 크지만 이익 개선에 대한 확인 필요한 업종으로 화학, 비철금속, 필수소비, 증권, 소매유통, 운송 업종을 제시했습니다.
이익 개선에 대한 추이를 봐야 한다는 점에서 단기 시각으로 살펴야 한단 분석입니다.
<앵커>
네, 잘 들었습니다.
이민재기자 tobemj@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