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지진의 무시된 경고음과 교훈"...지진발생 2주년 국제심포지엄 '지열발전의 유체주입에 의한 지진 발생 재확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포항지진 2년을 맞아 ‘무시된 경고음과 교훈’을 주제로 지진 전문가 국제 심포지엄이 열렸다.
포항시는 11.15지진 지열발전 공동연구단이 주최한 ‘2019년 포항지진 2주년 국제심포지엄- 무시된 경고음과 교훈’이 지난 15일 밀레니엄 서울 힐튼 대연회장에서 300여명의 국내외 전문가 및 일반인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고 밝혔다.
ADVERTISEMENT
행사는 TF 위원장이자 포항지진 정부조사연구단장이었던 이강근 서울대 교수의 2017 포항지진 원인에 대한 정부조사연구단의 연구결과 발표를 통해 포항지진이 촉발지진이라는 사실을 다시 한 번 상기시켰다.
유발지진의 개념을 정립한 세르지 샤피로 TF 해외위원(베를린 자유대 교수)은 포항지역의 지진지수를 고려해 유체주입에 의한 규모 5.5 지진의 발생확률에 대해 설명하고, 앞으로의 지진발생확률에 대하여 예측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ADVERTISEMENT
전남대 여인욱 교수는 지하수 전문가로서 포항 지열발전 당시 유체 주입에 따른 공극압 변동을 분석하여 지열발전 부지에 있는 지열정을 가로지르는 단층의 존재를 확인해 주었다.
토시코 테라카와 일본 나고야대 교수는 지진을 통해 분석된 단층면해를 이용해 응력변화를 분석하고 3차원 공극 유체압력을 추정했다. 유추된 공극 유체압력은 지열정 PX2의 중앙에 연결되어 있다는 결론으로 포항지진의 원인이 지열발전에 의한 촉발지진임을 증명했다.
ADVERTISEMENT
이진한 교수와 함께 포항지진의 원인을 최초로 사이언스지에 게재한 김광희 부산대 교수는 “포항지진 사전 경고음 무시”라는 주제로 포항 지열발전 당시 발생했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지적하면서 포항지진의 교훈에 대하여 발표했다.
포항지진 정부조사연구단으로 참여했던 토시히코 시마모토 교토대 교수는 미국과 일본의 지열발전에 대하여 설명하고, 포항지진을 발생시킨 원인인 지열발전의 문제점에 대해 논했다.
ADVERTISEMENT

이번 심포지엄에서 발표한 국내외 학자 모두 포항 지열발전 실증사업 추진 시 기술 개발에만 급급해 제대로 된 연구를 진행하지 못한 것을 지적하며, 지열발전 부지 주변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국내외 전문가들에게 포항지진에 관한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해 포항지진과 같은 불행한 재난이 다시는 발생하지 않도록 지혜를 모아 주기를 간곡히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포항=하인식 기자 hais@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