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종 "한국에 영향 주는 일본 전략 물자 '손 한 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현종 청와대 국가안보실 2차장이 일본의 '백색국가' 제외 조치에 대해 큰 영향이 없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
김현종 차장은 12일 tbs 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서 "우리한테 진짜 영향을 미치는 전략물자는 '손 한 줌' 된다"며 "1194개 전략물자 중 검토를 해보니 우리에게 영향을 미치는 게 생각보다 그렇게 많지는 않았다"고 밝혔다.
일본이 화이트리스트에서 한국을 배제했으나 당장 국내 경제에 미치는 타격은 크지 않은 만큼 충분히 대응이 가능하다는 의미다.
김 차장은 우리 정부의 대응 전략을 묻는 말에 "우리의 D램 시장 점유율은 72.4%로, (일본의 수출규제에 따라) D램 공급이 2개월 정지되면 전 세계 2억3000만대의 스마트폰을 만드는 데 차질이 생긴다"며 "이런 카드가 옵션으로 있다"고 대답했다.
일본 역시 한국에 의존하는 정도가 큰 만큼 우리도 대응할 몇 가지 방안이 있다는 것이다. 김 차장은 그러나 장기적으로 한국 역시 무역 의존도를 낮춰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김 차장은 "가장 좋은 조치는 4차산업혁명 기술 면에서 우리가 일본을 앞장서는 것"이라면서 "유능한 기술자들을 많이 오고 인센티브도 많이 줘야 한다"고 역설했다.
아울러 "국가 발전의 기본 원리인 기업과 기술에 투자해야 한다"면서 "우리 기업이 핵심기술 분야의 기업들을 인수·합병 할 수 있게 인센티브를 충분히 줘야 한다"고 부연했다.
김 차장은 일본이 대(對)한국 수출규제 조치를 발표한 뒤인 지난달 중순 미국 측과 이 문제를 논의하고자 미국에 들렀을 때 한일 관계를 '중재'해달라는 요청을 하지 않았다고도 강조했다.
김 차장은 "제가 미국에 중재를 요청하면 반대급부를 요구하는 '청구서'가 날아올 게 뻔한데 제가 왜 그걸 요청하겠는가"라며 "도와 달라고 요청하는 순간 제가 '글로벌 호구'가 된다"고 밝혔다.
이어 "제가 미국에 간 것에는 두 가지 목적이 있었다"며 "첫 번째는 (강제동원 관련 대법원판결은) 일본의 반인도적인 행위에 대한 청구권이 남아 있다는 것을 확인한 것뿐이라는 점을 설명하는 것이었다"라고 말했다.
김 차장은 "또 하나는 미국이 한미일 공조를 더 중요시하는 것인지, 아니면 재무장한 일본을 위주로 나머지 국가들을 종속변수로 생각해 아시아 외교 정책을 운용하려는 것인지 알고 싶었다"며 "그것을 물어보려 했던 것"이라고 언급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김현종 차장은 12일 tbs 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서 "우리한테 진짜 영향을 미치는 전략물자는 '손 한 줌' 된다"며 "1194개 전략물자 중 검토를 해보니 우리에게 영향을 미치는 게 생각보다 그렇게 많지는 않았다"고 밝혔다.
일본이 화이트리스트에서 한국을 배제했으나 당장 국내 경제에 미치는 타격은 크지 않은 만큼 충분히 대응이 가능하다는 의미다.
김 차장은 우리 정부의 대응 전략을 묻는 말에 "우리의 D램 시장 점유율은 72.4%로, (일본의 수출규제에 따라) D램 공급이 2개월 정지되면 전 세계 2억3000만대의 스마트폰을 만드는 데 차질이 생긴다"며 "이런 카드가 옵션으로 있다"고 대답했다.
일본 역시 한국에 의존하는 정도가 큰 만큼 우리도 대응할 몇 가지 방안이 있다는 것이다. 김 차장은 그러나 장기적으로 한국 역시 무역 의존도를 낮춰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김 차장은 "가장 좋은 조치는 4차산업혁명 기술 면에서 우리가 일본을 앞장서는 것"이라면서 "유능한 기술자들을 많이 오고 인센티브도 많이 줘야 한다"고 역설했다.
아울러 "국가 발전의 기본 원리인 기업과 기술에 투자해야 한다"면서 "우리 기업이 핵심기술 분야의 기업들을 인수·합병 할 수 있게 인센티브를 충분히 줘야 한다"고 부연했다.
김 차장은 일본이 대(對)한국 수출규제 조치를 발표한 뒤인 지난달 중순 미국 측과 이 문제를 논의하고자 미국에 들렀을 때 한일 관계를 '중재'해달라는 요청을 하지 않았다고도 강조했다.
김 차장은 "제가 미국에 중재를 요청하면 반대급부를 요구하는 '청구서'가 날아올 게 뻔한데 제가 왜 그걸 요청하겠는가"라며 "도와 달라고 요청하는 순간 제가 '글로벌 호구'가 된다"고 밝혔다.
이어 "제가 미국에 간 것에는 두 가지 목적이 있었다"며 "첫 번째는 (강제동원 관련 대법원판결은) 일본의 반인도적인 행위에 대한 청구권이 남아 있다는 것을 확인한 것뿐이라는 점을 설명하는 것이었다"라고 말했다.
김 차장은 "또 하나는 미국이 한미일 공조를 더 중요시하는 것인지, 아니면 재무장한 일본을 위주로 나머지 국가들을 종속변수로 생각해 아시아 외교 정책을 운용하려는 것인지 알고 싶었다"며 "그것을 물어보려 했던 것"이라고 언급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