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독일 미국대사 "독일 잉여금, 국내 발전에만 소비"
거세지는 美의 '獨 국방비' 압박…미군 철군 가능성 재차 언급
미국이 주독 미군의 철군 가능성까지 시사하면서 독일의 국방비 증액을 압박했다.

리처드 그리넬 주독일 미국대사는 지난 9일(현지시간) dpa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미국 납세자들이 독일에서 5만 명 이상의 미국인을 보유하기 위해 세금을 내야 한다는 것은 사실 불쾌한 일"이라고 말했다.

그는 "독일은 잉여금을 국내 발전에만 소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독일 등 유럽의 주요 우방국들을 상대로 2014년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가 합의한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방비 2% 지출'을 지켜야 한다고 압박해왔다.

그리넬 대사는 "트럼프 대통령과 조젯 마스바커 주독 폴란드 대사의 말은 정당하다"고 강조했다.

이는 최근 트럼프 대통령과 마스바커 대사가 주독 미군의 폴란드 이동 배치와 관련해 잇따라 언급한 것을 지지하며 독일을 압박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6월 안제이 두다 폴란드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한 뒤 기자회견에서 폴란드에 미군 1천명을 추가 배치하겠다고 밝히면서, 주독 미군을 이동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마스바커 대사는 지난 8일 트위터에서 폴란드는 GDP의 2%를 국방비로 지출해 나토의 의무를 이행했으나 독일은 그렇지 않다며 "주독 미군이 폴란드로 오는 것을 환영한다"고 말했다.

그리넬 대사의 발언은 이번달 트럼프 대통령의 유럽 순방을 앞두고 나온 것이어서 더욱 주목된다.

그리넬 대사는 독일의 국방비 지출에 대해 끊임없이 문제를 제기해왔다.

그는 지난 5월에도 "독일이 GDP 대비 2% 국방비 지출을 목표로 하지 않으면서 나토의 개혁을 주장하는 것은 위선적인 발언으로 보인다"면서 "독일은 2차 세계대전의 경험에서 '우리는 전쟁을 좋아하지 않는다'는 잘못된 교훈을 얻었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현재 독일에 주둔 중인 미군은 3만5천 명이고, 이들을 지원하는 민간 인력이 1천7천여명이다.

주독 미군은 유럽에 주둔하는 미군 가운데 최대 규모다.

미군은 동서독 분단 당시부터 서독지역에 주둔해왔다.

서독은 소련의 팽창 정책에 맞서는 미국의 최전선이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