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한양행 또 1조원 '잭팟'…베링거에 NASH 신약 기술수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유한양행의 비알콜성 지방간염(NASH) 치료제, 베링거인겔하임에 1조원 규모 기술수출
로열티 제외, 단계별 기술수출료만 최대 8억7000만 달러 수령 예정
지방증, 염증, 섬유증의 3가지 핵심 요인 표적으로 하는 차세대 신약으로 개발 목표
로열티 제외, 단계별 기술수출료만 최대 8억7000만 달러 수령 예정
지방증, 염증, 섬유증의 3가지 핵심 요인 표적으로 하는 차세대 신약으로 개발 목표

유한양행은 독일 베링거인겔하임과 8억7000만 달러(약 1조53억원) 규모의 기술수출계약을 체결했다고 1일 발표했다. 비알콜성 지방간염(nonalcoholic steatohepatitis, 이하 NASH) 치료제와 관련 간질환 치료를 위한 GLP-1과 FGF21의 활성을 갖는 이중작용제(dual agonist, 이하 이중작용제) 혁신 신약 개발을 위한 공동개발 및 라이선스 계약이다.
ADVERTISEMENT
NASH는 흔히 간 내 지방의 축적에 의해 시작되며, 염증으로 발전해 최종적으로는 다수의 환자에게 간섬유증과 간경변을 초래한다. 이 질환은 비만 환자와 당뇨병 환자에게 발병할 확률이 높으며, 현재 치료법이 존재하지 않는 의학적 수요가 매우 높은 분야이다.
베링거인겔하임은 NASH의 특징 하나만을 표적화하는 방법으로는 중증의 NASH 환자에서 완화 효과를 달성하기 어렵다고 판단하고 있다. 따라서 베링거인겔하임은 지방증, 염증 및 섬유증이라는 NASH의 3가지 핵심 요인을 모두 표적화하는 차세대 치료방법 개발을 위한 포괄적 프로그램을 구축했다.
ADVERTISEMENT
베링거인겔하임 경영이사회 혁신사업 담당 이사인 미헬 페레(Michel Pairet) 박사는 “베링거인겔하임은 이번 협력을 통하여 유한양행과 오랫동안 유지한 협력관계를 확대할 수 있게 되어 기쁘게 생각한다”며 “이번 협력을 바탕으로 베링거인겔하임은 NASH 환자를 위한 차세대 치료방법에 한 단계 더 가까워지게 됐다”고 말했다.
이정희 유한양행 사장은 “NASH 환자에게 의미 있는 변화를 가져올 약품 개발에 베링거인겔하임의 임상 전문기술이 적용될 수 있게 됐다”며 “유한양행이 자체 개발한 본 물질은 제넥신의 long-acting (HyFc) 기술이 접목된 융합단백질(fusion protein) 로, 바이오 의약품 관련 타사와의 첫번째 사업 협력일 뿐 아니라 NASH를 치료 목적으로 하는 국내 최초 바이오 의약품 기술수출 사례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유한양행은 한국에서 베링거인겔하임의 심혈관계 질환 및 대사성 질환 제품과 관련해 오랜 파트너 관계를 유지해 왔다. 본 계약에 따라 유한양행은 계약금으로 4000만 달러를 받고 개발 단계에 따라 마일스톤 지급액(기술료)으로 최대 8억3000만 달러를 수령할 수 있다. 신약 개발에 성공하면 순 매출액에 따른 로열티도 추가적으로 받는다.
전예진 기자 ace@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