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6월 9일은 구강보건의 날입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치약과 구중청량제의 선택법과 사용방법, 주의사항을 소개했는데요. 치약은 개인의 치아 상태와 제품의 주성분을 확인해 자신에게 맞는 제품을 고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충치 발생이 염려되는 경우 충치 발생을 억제하는 불소 성분이 함유된 치약이 좋습니다. 불소 함량은 제품에 표시된 사용상의 주의사항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잇몸에 국한된 염증인 치은염이나 잇몸과 잇몸 주위 조직까지 염증이 퍼지는 치주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염화나트륨, 초산토코페롤, 염산피리독신, 알란토인류 등이 함유된 치약을 사용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치아 표면에 형성되는 무색의 세균막인 치태가 있다면 이산화규소, 탄산칼슘, 인산수소칼슘이 함유된 치약을 사용하는 게 좋습니다. 무기질이 치아 표면에 부착된 채 단단하게 굳어져서 치석이 생기기도 하는데 치석이 자주 생기는 사람은 치석 침착을 예방하는 피로인산나트륨이 함유된 치약을 사용하면 됩니다. 치약은 어린이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하고 만 2세 이하 어린이는 양치질할 때 치약을 삼킬 수 있으므로 의약외품 ‘구강청결용 물휴지’를 사용해 보호자가 치아와 잇몸을 닦아주는 것이 좋습니다.

에탄올 함유 구중청량제, 자칫 음주 오인 받을 수도
가글액, 구강청결제를 사용하는 사람도 많은데요. 칫솔질 없이 간편하게 입안을 헹궈 입냄새 제거와 구강세척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제품입니다. 입냄새와 양치 후 불쾌감 방지를 목적으로 사용하는 사람도 많은데요. 자주 사용하면 오히려 입안을 건조하게 해 입냄새를 유발할 수 있으니 표시된 용법·용량과 주의사항을 꼼꼼하게 읽고 사용해야 합니다. 일반적인 사용법은 1일 1~2회 10~15mL를 입안에 머금고 30초 정도 양치 후 반드시 뱉어냅니다.

입안에 소량 남은 것은 필요에 따라 물로 헹궈내고 사용 후 약 30분 동안은 음식물을 섭취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만 2세 이하 어린이는 구중청량제를 삼킬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는 게 좋은데요. 6세 이하 어린이는 보호자의 지도를 받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에탄올 함유 구중청량제, 자칫 음주 오인 받을 수도
일부 에탄올을 함유한 구중청량제는 사용 후 음주 측정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구강건조증이 있는 사람이나 입안이 쉽게 건조해질 수 있는 노약자는 에탄올 성분이 없는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용 중 입안에 발진, 작열감 등 과민반응이 나타나거나 고열, 두통, 구역 증상이 있는 경우 의사 치과의사 약사 등과 상의해야 합니다.

어린이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하고 어린이가 실수로 삼키는 일이 없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치약과 구강청결제의 성분이 궁금하다면 식약처 의약품통합정보시스템을 이용하면 됩니다.

ac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