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 칼럼] 한·미동맹 흔드는 방위비 협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방위비 분담금 1300억원 증액에 한미동맹 흔들려선 곤란
'우리민족끼리'란 낭만에 휩쓸린 평화에 대한 성급한 기대 버리고
북한의 핵 위협 저지할 안보동맹 확실히 다져야"
이영조 < 경희대 국제대학원 교수·정치경제학 >
'우리민족끼리'란 낭만에 휩쓸린 평화에 대한 성급한 기대 버리고
북한의 핵 위협 저지할 안보동맹 확실히 다져야"
이영조 < 경희대 국제대학원 교수·정치경제학 >
![[다산 칼럼] 한·미동맹 흔드는 방위비 협상](https://img.hankyung.com/photo/201901/07.14412923.1.jpg)
청와대가 1조원에 집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1300억원이라면 그리 큰 차이도 아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스스로 두 배 인상을 언급했던 것을 감안하면 1조1300억원은 수용할 만한 타협점이었다. 15억달러를 10억달러까지 끌어내린 우리 실무협상팀의 협상은 매우 성공적이었다.
ADVERTISEMENT
이에 대해 “1조원은 국민 정서의 마지노선”이라는 해석을 내놓는 사람들도 있다. 1조원도 지난해 9602억원에서 4.1%가 오른 수치이니 더 이상은 ‘국민’이 받아들이기 힘들다는 것이다. 이는 근거 없는 변명처럼 들린다. 올해 국방예산도 지난해보다 8% 이상 늘었다. 더구나 사회 곳곳에서 단지 1300억원이 문제라면 국민모금으로 충당하자는 움직임도 있다. 그들이 이야기하는 ‘국민’이 누구인지 궁금할 뿐이다.
그렇다면 1조원을 고집하는 진짜 이유는 무엇인지 다시 묻지 않을 수 없다. 정부가 속내를 밝히지 않기 때문에 이 질문의 해답은, 토목공학에서 사용되는 삼각측량법처럼 최근의 몇 가지 사건으로부터 유추할 수밖에 없다.
ADVERTISEMENT
지난 15일 발간된 ‘2018 국방백서’에서는 ‘북한군은 우리의 적’이라는 문구가 삭제됐다. 동맹이란 원래 공동의 적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주적 삭제는 바로 동맹의 가치를 그만큼 낮게 본다는 의미다. 그래서인지 일본과 ‘북핵·미사일 위협’에 협력한다는 내용도 이번 국방백서에서는 빠졌다.
이런 일련의 사실이 공통되게 가리키는 것은 “우리민족끼리 평화를 만들어 가는 마당에 전통적 안보동맹에 매달릴 필요가 없다”는 논리다. 이렇게 보면 초계기 사건에 대해 한국 정부가 한·일 관계 전반은 고려하지 않은 채 강경 일변도로 대응하는 것도 이해할 수 있다.
ADVERTISEMENT
하지만 과연 그럴까.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신년사에서 북한이 사실상의 핵보유국 지위를 유지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평화는 우리 모두의 희망사항이지만 평화에 대한 성급한 기대는 버려야 한다. 일이 틀어질 경우, 우리 스스로 북한의 위협을 떨쳐낼 수 있을까. 미국이 제시한 10억달러는 국민 1인당 2만원, 1300억원은 2000원쯤에 불과하다. 국민의 안전을 강조하는 이 정부가 국민들의 안전보험에 1인당 2000원을 더 사용하는 데 인색할 수는 없는 일이다.
제2차 미·북 정상회담에서 어떤 거래가 일어날지 알 수 없다. 불확실성을 제거해 평화로 가는 길을 앞당기기 위해서라도 한시바삐 방위비 분담금 협상을 타결해야 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