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실리콘밸리에 한 번이라도 가봤으면 이렇게 답답하지는 않을 텐데요.”

국방혁신 계획안을 짜고 있는 국방부 관료의 푸념이다.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등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걸맞은 군의 개혁이 필요하다는 청와대의 주문과 민(民)의 요구가 빗발치면서 요즘 국방부 내 관련 부서는 분주하다. 뭔가는 해야겠는데 좀처럼 감이 안 잡힌다는 게 요즘 국방부 공무원들의 고민이다.

지난 14일 ‘4차 산업혁명 스마트 국방혁신 추진단’(이하 추진단)은 이런 고민에서 출범한 조직이다. 장관 직속으로 단장은 차관이 맡았다. 국방부, 합참, 방위사업청 및 정부출연연구기관 등 국·과장급 30여 명이 참여한다. 국방부는 16일 추진단 발족을 발표하면서 “국방 분야 4차 산업혁명의 컨트롤타워”라고 설명했다.

추진단은 18일 실무회의로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한다. 김대희 정보통신정책연구원장, 김석환 한국인터넷진흥원장, 유웅환 SK텔레콤 오픈콜라보센터장 등 8명으로 1차 자문단이 꾸려졌다.

국방부가 추진단을 발족시킨 건 군이 기술 진화 속도를 쫓아가지 못하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국방부 관계자는 “기업은 20여 년 전에 완성한 전사적자원관리(ERP)를 바탕으로 축적된 데이터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를 고민하고 있지만 군에선 보안장벽 때문에 데이터 축적 자체가 불가능한 실정”이라고 털어놨다.

군내 통신망 속도도 민간에 비하면 턱없이 낮다. 각 부대에 비치된 사이버 지식방 내 컴퓨터로는 쌍방향 온라인 수업이 불가능할 정도다. 추진단을 통해 3차 산업혁명조차 제대로 못하고 있는 군의 기술을 단숨에 4차 산업혁명 수준으로 끌어올리자는 게 국방부의 생각이다. 청와대에서도 ‘서두르라’는 신호가 연일 오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작년 말 국방부 업무보고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올해보다 8.2% 증액한 2019년도 국방예산을 제대로 써야 한다”며 군의 혁신을 주문했다.

안팎의 요구에 떠밀려 국방부가 의욕만 앞세우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정보기술(IT)업계 관계자는 “대통령은 군이 최첨단 무기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개발(R&D)에 투자하고, 이를 통한 민간으로의 낙수효과를 기대하고 있는 것일 텐데 정작 국방부는 뒤처진 군조직 운영을 효율화하는 데만 초점을 맞춘 것 같다”고 지적했다.

박동휘 기자 donghui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