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파 속 낙상사고` 골다공증 동반한 노년층에 치명적
때이른 겨울 추위가 찾아온 가운데 1~2월에는 북극 한파까지 예고돼 건강관리에 더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특히 척추·관절 질환은 노년층이 겨울을 나는데 더 주의해야 하는 질환이다.

빙판길에서 미끄러지는 낙상사고는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발생하는 겨울철 단골 안전사고다. 젊은 사람에게는 단순한 골절사고로 그칠 수 있는 겨울철 낙상사고가 상대적으로 뼈가 약한 노년층에게는 생명을 위협할 정도의 치명적인 사고가 될 수도 있다.

ADVERTISEMENT

낙상사고가 사망으로 이어지는 가장 큰 이유는 노인 대부분이 골다골증을 앓고 있으며 균형 감각이나 사고 위험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 현저히 떨어져 낙상 시 심한 골절상을 입기 때문이다.

골다공증은 골밀도가 낮아지면서 뼈가 약해지고 부러지기 쉬운 상태가 되는 질환이다. 특히 여성은 중년 이후 폐경기에 들어서면서 골밀도가 낮아지기 시작해 이후에는 별다른 이유 없이도 쉽게 골절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러나 골다공증은 그 자체만으로는 자각증상이 없어 고관절골절, 척추압박골절 등 심한 부상을 입은 후에야 알게 되는 경우가 많다.

고관절골절이란 노인골절 중 가장 심각한 질환이며 엉덩이뼈와 연결되는 대퇴골 근처에 발생하는 골절이다. 고관절 골절은 발생 직후 치료가 되지 않으면 수개월 동안 일어날 수 없을 정도로 극심한 통증에 시달린다. 척추압박골절은 넘어지거나 주저앉을 때의 충격으로 척추 뼈에 골절이 생기는 질환이다. 이때 극심한 허리 통증이 나타나 거동이 어려워진다. 이 같은 질환으로 장기간 누워있게 되면 욕창, 폐렴, 혈전으로 인한 심장마비 등의 합병증까지 발생해 사망률이 높아진다.

ADVERTISEMENT

제일정형외과병원 신규철 병원장은 "낙상사고로 인한 골절을 방치하면 골절이 2차, 3차로 여러 부위에 걸쳐 다발성 골절로 이어질 수 있다"며 "겨울철 빙판길에 미끄러지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우선적인 방법이겠지만 평소에 주기적으로 골밀도를 검사해 골다공증 정도를 확인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경제TV 핫뉴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