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테카바이오, 자체 개발한 통합유전체 플랫폼 기술 관련 논문 국제학술지 실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신테카바이오의 기술은 30억 개에 달하는 염기서열을 630개의 덩어리로 나누는 '병렬분석기술'이다. 한 덩어리당 염기서열이 500만 개 들어 있다. 2015년 기술을 개발한 뒤 지난해 특허 등록을 마쳤다.
ADVERTISEMENT
한 사람의 유전정보는 30억 개의 염기서열로 쓰여 있다. 모든 사람의 생물학적 특성이 제각각인 까닭은 30억 개 염기서열 중 0.1%에 해당하는 300만 개가 다르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혈통, 신진대사 능력, 특정 질병 유무, 약물 반응성 등 건강과 관련된 정보가 담겨 있다.
이에 따라 전 세계의 많은 연구진이 수천 명에서 수십만 명의 유전체를 비교 분석해 특정 질환이나 약물 반응성과 연관된 염기서열 차이(변이)를 찾고 있다. 국제암유전체컨소시엄(ICGC)은 수천 명의 암 환자에서 발견한 유전자 변이를 분석해 주요 암 유전자를 규명한 대표적인 프로젝트다. 국내에서도 향후 5년간 한국인 10만 명의 유전체 정보를 확보하기 위한 연구가 시작될 예정이다.
ADVERTISEMENT
이 회사는 네이버와 함께 통합유전체 플랫폼 기술을 바탕으로 클라우드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통합유전체 플랫폼 기술은 항암제 반응성 예측 솔루션, 유전체 기반 환자 계층화 솔루션 등 다양한 정밀의료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고 했다.
임유 기자 freeu@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