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부총리와 장하성 정책실장이 동시 경질된 배경 중 하나는 ‘고용 참사’란 관측이 많다. 올해 취업자 수 증가 규모는 8개월째 10만 명 대 이하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장 좋지 않다. 지표의 ‘질’이 나빠지는 게 더 문제다. 취업자 수 증가폭은 지난 7월 5000명(작년 동기 대비), 8월 3000명에 그쳤다. 9월 4만5000명으로 소폭 회복했으나 사실상 제자리걸음이란 평가다. 작년만 해도 취업자 수 증가폭은 월평균 31만6000명에 달했다.
이번주 발표되는 경제지표 중 가장 주목할 만한 건 10월 고용동향이다. 통계청이 14일 공개한다. 전망은 밝지 않다. 국책 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지난달 취업자 수 증가 규모가 아예 마이너스를 기록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경기 부진이 지속된 데다 작년 취업자 수 증가폭이 28만1000명에 달했던 기저효과까지 있어서다. 10월뿐만 아니라 연말까지 취업자 수가 매달 평균 2만1000명씩 감소할 것이란 게 KDI의 예측이다. 김동연 부총리도 최근 진행된 국정감사에서 “정부의 올해 고용 전망(18만 명) 달성은 쉽지 않다. 일자리 문제는 단기간 해결하기 어렵다”고 시인했다. 같은 날 금융위원회 산하 증권선물위원회는 삼성바이오로직스의 고의 분식 의혹에 대한 2차 심의에 나선다. ‘삼성바이오 사태’는 걷잡을 수 없이 커지는 양상이다. 여권 일각에서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 과정에서 제일모직이 보유하고 있는 삼성바이오 가치를 고의로 ‘뻥튀기’한 정황이 드러났다”며 삼성 내부 문건까지 공개해서다.
통계청이 16일 내놓는 ‘2017년 주택소유통계’ 자료도 관심 있게 볼 만하다. 작년 11월1일 기준 주택 보유자 중 다주택자 비중이 나온다. 2016년 기준으로는 두 채 이상 집을 가진 사람이 전년 대비 10만1000명 늘어 전체의 14.9%를 차지했다.
이달 초 시작한 국회의 내년 예산안(470조5000억원) 심사가 한 주 내내 계속된다. 지난주에도 여야 간 공방이 치열했다. 역시 쟁점은 일자리 예산이다. 정부가 내년 일자리 예산을 올해보다 22% 늘어난 23조5000억원으로 책정했는데 이 중 ‘단기 알바’용 8조원을 삭감해야 한다는 게 야당의 주장이다. 내년 남북협력기금 사업비(1조1000억원)의 적정성을 놓고서도 여야 간 샅바싸움이 이어질 전망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번주 싱가포르와 파푸아뉴기니를 잇따라 방문한다. 5박6일 일정이다. 두 곳에서 열리는 한·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 정상회의, 동아시아 정상회의(EAS),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등에 참석하기 위해서다. 순방 기간 중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 등과의 양자 회담을 추진 중이다. 북한 문제가 핵심 의제다.
roa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