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방송 M&A '동상이몽'…누가 방아쇠 당길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케이블TV "빨리 팔고 싶다"
가입자 줄어 매각 서두르지만
희망가격 안맞아 '지지부진'
통신업계 "5G 서비스가 먼저"
KT도 인수 의사 밝혔지만
내년 3월 5G 상용화 급해 '머뭇'
업계 "거래 하나 터지면 도미노"
가입자 줄어 매각 서두르지만
희망가격 안맞아 '지지부진'
통신업계 "5G 서비스가 먼저"
KT도 인수 의사 밝혔지만
내년 3월 5G 상용화 급해 '머뭇'
업계 "거래 하나 터지면 도미노"
“자회사 KT스카이라이프의 성장 정체 돌파를 위한 방안 중 하나로 (케이블TV 인수를) 검토 중이다.”
KT가 지난 2일 3분기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에서 케이블TV 인수 의지를 공식적으로 밝혔다. 작년 말부터 CJ헬로 인수합병(M&A)을 논의 중인 LG유플러스에 이어 두 번째다. 하지만 업계에선 M&A가 성사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릴지 모른다는 분석도 나온다. 팔려는 케이블TV 업계와 사려는 통신업계 사이의 희망금액 차이가 큰 데다 통신업체가 내년 3월 상용화를 앞둔 5세대(5G) 이동통신사업 안착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기 때문이다. ◆LG유플러스 이어 KT도 M&A 검토
LG유플러스와 KT는 각각 지난 1, 2일 3분기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에서 케이블TV 인수를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LG유플러스는 CJ헬로, KT는 딜라이브에 관심을 두고 있다. SK텔레콤은 한 발짝 물러서 있지만 시장 상황에 따라 언제든 인수전에 나설 태세다. 유료방송 시장이 포화상태에 이르면서 대형화를 통한 생존경쟁이 불가피하다는 게 업계의 공통적인 인식이다.
또 유료방송업계 지각변동의 ‘키’는 LG유플러스가 쥐고 있다는 게 업계의 평가다. LG유플러스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CJ헬로 인수 의사를 공공연하게 드러냈다. 작년 하반기 기준 유료방송 업계 점유율은 KT와 KT스카이라이프(30.54%), SK브로드밴드(13.65%), CJ헬로(13.1%), LG유플러스(10.89%) 순서다. LG유플러스가 CJ헬로를 인수하면 합산점유율 23.99%로 SK브로드밴드를 넘어 단숨에 2위로 오르게 된다.
KT와 SK브로드밴드는 LG유플러스에 비해 운신의 폭이 좁다. SK텔레콤은 2016년 CJ헬로와 M&A를 추진했지만 공정거래위원회가 불허 결정을 내려 결국 무산됐다. 이동통신과 케이블TV 분야에서 각각 1위 사업자인 만큼 M&A로 인한 경쟁 제한성이 생길 수 있다는 이유였다.
KT는 유료방송 시장 합산 점유율이 33.3%를 넘지 못하도록 한 규제가 지난 7월 일몰되면서 M&A 시장에 뛰어들었다. 하지만 현재 1위 사업자인 KT가 점유율을 더 늘리면 시장 독과점 논란이 불거질 수 있고 이 과정에서 합산규제가 재도입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과거 SK텔레콤이 CJ헬로 인수를 추진할 당시 KT가 방송 공익성을 훼손하는 등 소비자 피해가 우려된다고 주장했던 화살이 그대로 되돌아올 수 있다.
◆통신업체 “5G 상용화 먼저 해결해야”
유료방송 업체 간 M&A 논의가 시작된 지 1년 가까이 흘렀지만 아직 뚜렷한 진전은 없다. 거래가 성사되지 못한 가장 큰 이유는 팔려는 쪽과 사려는 쪽의 희망 가격 차이가 크기 때문이다. 통신 시장의 판도 변화를 불러올 수 있는 5G 상용화가 코앞으로 다가온 것도 변수다. M&A에 가장 적극적인 LG유플러스도 CJ헬로 인수를 최우선 순위로 두기 어렵다. LG유플러스는 5G 상용화를 계기로 20% 수준에 머물고 있는 무선통신 시장 점유율을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세웠다. 한 통신업계 관계자는 “결국 LG유플러스가 움직이지 않는다면 유료 방송 M&A 논의가 교착상태에 빠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통신 3사는 내년 3월로 예정된 5G 상용화를 위해 전사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상용화 시점을 맞추려면 네트워크 구축에 나서야 하는데 SK텔레콤을 제외한 두 회사는 장비회사 선정도 마무리하지 못했다.
더 큰 문제는 5G를 이용한 수익화 모델이다. 당장 4분기부터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투자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지만 5G를 이용한 차별화된 서비스는 찾지 못했다.
반면 시간이 지날수록 가입자가 줄어드는 케이블TV 업체는 매각을 서둘러야 하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케이블TV 업계가 가격을 낮춰 매각에 나설 것이란 시각도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내년 6월 대출 만기를 앞둔 딜라이브가 가장 급한 상태”라며 “거래 하나가 성사되면 도미노처럼 연쇄적으로 M&A가 이뤄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승우 기자 leeswoo@hankyung.com
KT가 지난 2일 3분기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에서 케이블TV 인수 의지를 공식적으로 밝혔다. 작년 말부터 CJ헬로 인수합병(M&A)을 논의 중인 LG유플러스에 이어 두 번째다. 하지만 업계에선 M&A가 성사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릴지 모른다는 분석도 나온다. 팔려는 케이블TV 업계와 사려는 통신업계 사이의 희망금액 차이가 큰 데다 통신업체가 내년 3월 상용화를 앞둔 5세대(5G) 이동통신사업 안착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기 때문이다. ◆LG유플러스 이어 KT도 M&A 검토
LG유플러스와 KT는 각각 지난 1, 2일 3분기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에서 케이블TV 인수를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LG유플러스는 CJ헬로, KT는 딜라이브에 관심을 두고 있다. SK텔레콤은 한 발짝 물러서 있지만 시장 상황에 따라 언제든 인수전에 나설 태세다. 유료방송 시장이 포화상태에 이르면서 대형화를 통한 생존경쟁이 불가피하다는 게 업계의 공통적인 인식이다.
또 유료방송업계 지각변동의 ‘키’는 LG유플러스가 쥐고 있다는 게 업계의 평가다. LG유플러스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CJ헬로 인수 의사를 공공연하게 드러냈다. 작년 하반기 기준 유료방송 업계 점유율은 KT와 KT스카이라이프(30.54%), SK브로드밴드(13.65%), CJ헬로(13.1%), LG유플러스(10.89%) 순서다. LG유플러스가 CJ헬로를 인수하면 합산점유율 23.99%로 SK브로드밴드를 넘어 단숨에 2위로 오르게 된다.
KT와 SK브로드밴드는 LG유플러스에 비해 운신의 폭이 좁다. SK텔레콤은 2016년 CJ헬로와 M&A를 추진했지만 공정거래위원회가 불허 결정을 내려 결국 무산됐다. 이동통신과 케이블TV 분야에서 각각 1위 사업자인 만큼 M&A로 인한 경쟁 제한성이 생길 수 있다는 이유였다.
KT는 유료방송 시장 합산 점유율이 33.3%를 넘지 못하도록 한 규제가 지난 7월 일몰되면서 M&A 시장에 뛰어들었다. 하지만 현재 1위 사업자인 KT가 점유율을 더 늘리면 시장 독과점 논란이 불거질 수 있고 이 과정에서 합산규제가 재도입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과거 SK텔레콤이 CJ헬로 인수를 추진할 당시 KT가 방송 공익성을 훼손하는 등 소비자 피해가 우려된다고 주장했던 화살이 그대로 되돌아올 수 있다.
◆통신업체 “5G 상용화 먼저 해결해야”
유료방송 업체 간 M&A 논의가 시작된 지 1년 가까이 흘렀지만 아직 뚜렷한 진전은 없다. 거래가 성사되지 못한 가장 큰 이유는 팔려는 쪽과 사려는 쪽의 희망 가격 차이가 크기 때문이다. 통신 시장의 판도 변화를 불러올 수 있는 5G 상용화가 코앞으로 다가온 것도 변수다. M&A에 가장 적극적인 LG유플러스도 CJ헬로 인수를 최우선 순위로 두기 어렵다. LG유플러스는 5G 상용화를 계기로 20% 수준에 머물고 있는 무선통신 시장 점유율을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세웠다. 한 통신업계 관계자는 “결국 LG유플러스가 움직이지 않는다면 유료 방송 M&A 논의가 교착상태에 빠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통신 3사는 내년 3월로 예정된 5G 상용화를 위해 전사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상용화 시점을 맞추려면 네트워크 구축에 나서야 하는데 SK텔레콤을 제외한 두 회사는 장비회사 선정도 마무리하지 못했다.
더 큰 문제는 5G를 이용한 수익화 모델이다. 당장 4분기부터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투자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지만 5G를 이용한 차별화된 서비스는 찾지 못했다.
반면 시간이 지날수록 가입자가 줄어드는 케이블TV 업체는 매각을 서둘러야 하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케이블TV 업계가 가격을 낮춰 매각에 나설 것이란 시각도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내년 6월 대출 만기를 앞둔 딜라이브가 가장 급한 상태”라며 “거래 하나가 성사되면 도미노처럼 연쇄적으로 M&A가 이뤄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승우 기자 leesw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