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저임금 급등에 죽을 맛"… 3만 소상공인, 빗속 광화문 '분노의 행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소상공인 ‘최저임금 반대집회’
소상공인聯·외식중앙회 등 60여개 업종 150여단체
대규모 집회 후 靑까지 행진
"2년새 29%오른 최저임금
소상공인들 생존 위협"
"최저임금委 사용자위원 50%
소상공인 대표로 채워야"
"저소득근로자와 상생위해
소상공인 권리 보장돼야"
소상공인聯·외식중앙회 등 60여개 업종 150여단체
대규모 집회 후 靑까지 행진
"2년새 29%오른 최저임금
소상공인들 생존 위협"
"최저임금委 사용자위원 50%
소상공인 대표로 채워야"
"저소득근로자와 상생위해
소상공인 권리 보장돼야"

29일 광화문광장 앞으로 최저임금 인상에 반대하는 소상공인 3만여 명(주최 측 추산)이 모였다. 집회가 시작되는 오후 4시가 가까워지자 먹구름이 가득한 하늘에선 빗방울이 쏟아졌다.
ADVERTISEMENT
최 회장은 “2년 새 29% 오른 최저임금이 소상공인의 생존을 위협해 이날 3만 소상공인이 모였다”며 “노동자 위원들과 공익위원만으로 구성돼 일방적으로 결정된 2019년도 최저임금 결정안은 절차적으로, 내용적으로 정당성을 상실했다”고 주장했다.
5인 미만 사업장 최저임금 차등적용을
ADVERTISEMENT
소상공인 생존권 운동연대 관계자는 “현재 사용자위원 9명 중 2명이 소상공인연합회 소속이지만 우리가 추천한 사람이 아니다. 소상공인 목소리가 잘 전달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최 회장은 “소상공인을 무시하는 일방적인 행정을 단결로 끊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ADVERTISEMENT
이들이 거리로 나온 이유는 수치로도 알 수 있다. 자영업자의 폐업은 2015년부터 꾸준히 늘었다. 2015년에는 사업자 79만50명이 폐업한 데 이어 지난해에는 폐업자 수가 90만8076명까지 증가했다. 업계에서는 올해 폐업하는 사업자 수가 100만 명을 쉬이 넘길 것으로 보고 있다.
폐업이 늘며 빈 상가도 증가하고 있다. 폐업으로 빈 상가는 다시 채워지지 않고 있다. 올해 2분기 소규모 상가 공실률은 5.2%였다. 지난해 같은 기간 4.1%에 비해 1.1%포인트 늘어났다. 중대형 상가 또한 공실률이 9.6%에서 10.7%로 1.1%포인트 증가했다.
ADVERTISEMENT
최 회장은 “소상공인은 지원만 바라는 힘없는 약자가 아니다”며 “700만 소상공인과 저소득근로자가 동반 상생할 수 있도록 소상공인의 기본적인 권리가 보장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우상/김기만 기자 idol@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