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김정은, 3차 정상회담… 예정대로 평양에서 열릴 듯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남북, 13일 판문점서 고위급 회담
靑 "시기·장소·방북단 협의"
빠르면 이달 말 개최 가능성
"시진핑 방북이 변수" 관측도
靑 "시기·장소·방북단 협의"
빠르면 이달 말 개최 가능성
"시진핑 방북이 변수" 관측도
제3차 남북한 정상회담이 평양에서 이르면 이달 말 열릴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방북설이 흘러나오는 등 한반도 비핵화 및 종전 선언을 향한 관련국들의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12일 춘추관 브리핑에서 “내일(13일) 남북고위급회담을 통해 4·27 판문점 선언에서 발표한 남북 정상회담 시기와 장소, 방북단 규모 등이 합의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방북’이라는 표현을 두고, 정상회담 장소가 평양임을 암시하는 것이냐는 질문에 김 대변인은 “지난번에 ‘평양이 기본이지만 평양만이라고 하기는 어렵다’는 취지의 말씀을 드렸는데 그것은 원론적인 말”이라며 “생각했던 것보다 너무 평양이 아니라 제3의 장소로 (언론이) 해석해 부담스러웠다”고 답했다.
북한의 ‘깜짝 제의’로 4차 남북고위급회담이 13일로 확정되자 일각에선 평양이 아니라 판문점 등 제3의 장소에서 정상회담이 이뤄지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다. 비핵화와 종전 선언을 둘러싼 미국 간 대화가 교착 상태에 빠지면서 북한이 한국에 중재자 역할을 긴급 요청했고, 이를 위해선 준비가 필요한 ‘가을 평양 답방’보단 판문점 회담이 현실적인 대안이란 게 추론의 이유다.
남북고위급회담에 참석할 양측 명단도 확정됐다. 우리 측은 조명균 통일부 장관을 수석대표로 천해성 통일부 차관과 남관표 청와대 국가안보실 2차장, 안문현 국무총리실 심의관이 참석한다. ‘평양 정상회담’을 성사시키기 위한 청와대의 의지가 엿보이는 구성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해석이다. 차관급인 남 차장의 참석에 대해 김 대변인은 “남 차장은 남북 정상회담을 비롯해 판문점 선언 합의 내용과 관련해 가장 적임자”라고 설명했다. 지난 6월에 열린 3차 남북고위급회담 때 청와대 담당인 남 차장은 참석하지 않았다.
이에 비해 북측은 이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 위원장, 박용일 조평통 부위원장과 더불어 김윤혁 철도성 부상, 박호영 국토환경보호성 부상, 박명철 민족경제협력위원회 부위원장 등 경제 일꾼들을 전면에 내세웠다. 경제협력 재개와 종전 선언 조기 발표를 밀어붙이려는 의도가 엿보인다.
강인덕 전 통일부 장관은 “북한이 대북 제재 여파와 더불어 최근 심각한 가뭄까지 겹쳐 경제 상황이 매우 좋지 않다”며 “북한 정권 수립 70주년인 9·9절 전까지 뭔가 구체적인 성과를 내야 한다는 압박감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의 대남선전용 매체 우리민족끼리는 이날 “4·27 판문점 선언이 채택된 지 100일이 지났음에도 이행에 있어 응당한 결실과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다”며 “(원인은) 미국의 대조선(대북) 제재 책동과 그에 편승한 남측의 부당한 처사에 있다”고 주장했다.
3차 남북 정상회담 시기에 대해선 8월 말이 유력하지만 9월 이후가 될 가능성도 여전하다. 시 주석의 방북이 언제쯤이 될 것인지가 변수다. 외신에 따르면 북한은 외국인 단체 관광객들의 입국을 막는 등 ‘국빈’을 맞기 위한 준비 작업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아/박재원 기자 mia@hankyung.com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12일 춘추관 브리핑에서 “내일(13일) 남북고위급회담을 통해 4·27 판문점 선언에서 발표한 남북 정상회담 시기와 장소, 방북단 규모 등이 합의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방북’이라는 표현을 두고, 정상회담 장소가 평양임을 암시하는 것이냐는 질문에 김 대변인은 “지난번에 ‘평양이 기본이지만 평양만이라고 하기는 어렵다’는 취지의 말씀을 드렸는데 그것은 원론적인 말”이라며 “생각했던 것보다 너무 평양이 아니라 제3의 장소로 (언론이) 해석해 부담스러웠다”고 답했다.
북한의 ‘깜짝 제의’로 4차 남북고위급회담이 13일로 확정되자 일각에선 평양이 아니라 판문점 등 제3의 장소에서 정상회담이 이뤄지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다. 비핵화와 종전 선언을 둘러싼 미국 간 대화가 교착 상태에 빠지면서 북한이 한국에 중재자 역할을 긴급 요청했고, 이를 위해선 준비가 필요한 ‘가을 평양 답방’보단 판문점 회담이 현실적인 대안이란 게 추론의 이유다.
남북고위급회담에 참석할 양측 명단도 확정됐다. 우리 측은 조명균 통일부 장관을 수석대표로 천해성 통일부 차관과 남관표 청와대 국가안보실 2차장, 안문현 국무총리실 심의관이 참석한다. ‘평양 정상회담’을 성사시키기 위한 청와대의 의지가 엿보이는 구성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해석이다. 차관급인 남 차장의 참석에 대해 김 대변인은 “남 차장은 남북 정상회담을 비롯해 판문점 선언 합의 내용과 관련해 가장 적임자”라고 설명했다. 지난 6월에 열린 3차 남북고위급회담 때 청와대 담당인 남 차장은 참석하지 않았다.
이에 비해 북측은 이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 위원장, 박용일 조평통 부위원장과 더불어 김윤혁 철도성 부상, 박호영 국토환경보호성 부상, 박명철 민족경제협력위원회 부위원장 등 경제 일꾼들을 전면에 내세웠다. 경제협력 재개와 종전 선언 조기 발표를 밀어붙이려는 의도가 엿보인다.
강인덕 전 통일부 장관은 “북한이 대북 제재 여파와 더불어 최근 심각한 가뭄까지 겹쳐 경제 상황이 매우 좋지 않다”며 “북한 정권 수립 70주년인 9·9절 전까지 뭔가 구체적인 성과를 내야 한다는 압박감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의 대남선전용 매체 우리민족끼리는 이날 “4·27 판문점 선언이 채택된 지 100일이 지났음에도 이행에 있어 응당한 결실과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다”며 “(원인은) 미국의 대조선(대북) 제재 책동과 그에 편승한 남측의 부당한 처사에 있다”고 주장했다.
3차 남북 정상회담 시기에 대해선 8월 말이 유력하지만 9월 이후가 될 가능성도 여전하다. 시 주석의 방북이 언제쯤이 될 것인지가 변수다. 외신에 따르면 북한은 외국인 단체 관광객들의 입국을 막는 등 ‘국빈’을 맞기 위한 준비 작업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아/박재원 기자 mi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