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부총리 '투자·고용 구걸'에 제동" 보도에 강하게 반박
"대기업에 투자·고용 계획 간섭한 적 없어…논란 여유 없다"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3일 삼성전자 방문 계획과 관련, '투자 구걸' 논란이 야기되는 것에 대해 강하게 반박했다.
김동연 "과거식 대기업 의지 투자·고용 늘릴 의도·계획 없다"
김 부총리는 이날 배포한 입장 자료에서 "정부는 과거와 같은 방식으로 대기업에 의지해 투자나 고용을 늘리려는 의도도, 계획도 전혀 없다"고 밝혔다.

이어 "정부는 우리 경제가 혁신을 통해 역동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시장 여건과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 정책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전날 삼성전자 방문이 투자 압박이 아니라고 강조한 데 이어 하루 만에 같은 입장을 재차 반복한 것이다.

이는 삼성전자가 김 부총리의 방문에 맞춰 투자·고용 계획을 내놓기로 했지만, 청와대의 우려로 계획을 취소했다는 언론보도에 대한 반박이다.

한겨레신문은 이날 김 부총리의 삼성전자 방문 계획과 관련, 청와대가 '재벌에 투자·고용을 구걸하는 듯한 모습을 보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우려를 김 부총리에게 전달했다고 보도했다.

김 부총리는 "투자나 고용 계획에 대한 의사 결정은 기업이 자율적으로 판단해 결정하는 것"이라며 "대기업은 4번 만났지만, 투자나 고용 계획에 대해 간섭한 적이 없다"고 강조했다.

김 부총리는 지난해 12월 LG그룹을 시작으로 현대차·SK·신세계 총수를 잇달아 면담했고, 대기업들은 모두 만남 직후 대규모 투자·고용 계획을 내놨다.

김 부총리가 직접 대기업의 대규모 투자 계획을 한발 앞서 언론에 공개하기도 했다.

그는 지난달 26일 "조만간 한 대기업에서 3∼4조원 규모, 중기적으로 15조원 규모 투자계획이 발표될 것"이라고 밝혔고 이튿날 SK하이닉스는 메모리 반도체 공장 건설 등 투자계획을 공개했다.

정부의 태도가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에 연루돼 재판 중인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재판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 등에 대해서는 불필요한 '논란'이라고 일축했다.

김 부총리는 "지금의 경제 상황에서 이런 논란에 에너지를 낭비할 여유가 없다"며 "혁신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하는데도 시간이 부족하다"고 말했다.

특히 특정하지 않는 일부 표현에 대해서는 "국민들이 바라는 혁신성장과 일자리 창출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강한 불쾌감을 표시하기도 했다.

다만 재벌의 불공정거래 등 문제에 대해서는 "투자나 고용과는 관계없이 지속해서 개선되도록 노력하겠다는 것이 정부의 분명한 입장"이라며 시장 여건 조성 노력과 별개로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