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케일업(Scale-up) 대구·경북] 대구테크노파크 20년… 독보적인 스타기업 육성기관 부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014년 권업 원장 취임후 高성장
지원받은 570개 기업 평균 매출… 2016년 10조원… 2년 만에 2조 ↑
지역 고용도 3500여명 늘어
기업 '성장 사다리' 확립
스타트업부터 월드클래스까지… 맞춤형 기업 지원 정책 확립
물·에너지·스포츠융복합 등, 4차 산업 발굴 주도적 역할
해외 마케팅 역량 강화
미국 CES 6년 연속 참가
베트남·콜롬비아 시장 개척
지원받은 570개 기업 평균 매출… 2016년 10조원… 2년 만에 2조 ↑
지역 고용도 3500여명 늘어
기업 '성장 사다리' 확립
스타트업부터 월드클래스까지… 맞춤형 기업 지원 정책 확립
물·에너지·스포츠융복합 등, 4차 산업 발굴 주도적 역할
해외 마케팅 역량 강화
미국 CES 6년 연속 참가
베트남·콜롬비아 시장 개척


ADVERTISEMENT
권 원장은 “사업 규모가 확대되면 수혜는 모두 대구 기업에 돌아간다”며 “지역 실정과 국가 수요에 맞는 사업기획 역량을 키우는 것이 관건이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정부사업이 공모제여서 어느 사업 하나 그냥 가져온 것이 없다”고 덧붙였다.
대구TP 20년 역사 가운데 가장 성공한 사업은 스타기업 육성사업이다. 2007년 대구에서 시작했지만 스케일업 기업 육성 정부모델로 채택돼 중소벤처기업부가 올해부터 전국에 1000개의 ‘스타기업’을 육성키로 했다. 권 원장은 대구시와 함께 스타기업보다 규모가 작은 프리스타기업 지원제도도 도입했다. ‘블루칩스 100’이라는 지표도 개발했다. 기업 규모에 관계없이 ‘성장성’을 바탕으로 기업을 키우기 위한 지표였다. 대구의 99%를 차지하는 중소기업의 강소기업 육성없이 대구경제 도약이 불가능했기 때문이다. 매출 규모가 작은 벤처기업(스타트업)부터 프리스타, 스타기업, 글로벌 강소기업, 월드클래스 300기업까지 이어지는 기업성장의 사다리를 가장 정교하게 짠 기업지원 정책 모델을 확립했다.
ADVERTISEMENT
대구TP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에 6년 연속 기업들과 함께 참가했다. 베트남 과학기술청, 사이공하이텍파크, 호이락테크노파크와의 기술이전사업으로 확보된 네트워크를 활용해 베트남 시장도 개척하고 있다. 권 원장은 “베트남이 필요로 하는 제품과 기술을 잘 알기 때문에 우리 기업과 연결할 수 있는 노하우가 축적돼있다”고 말했다. 나노융합실용화센터를 중심으로 대구 물기업의 콜롬비아 진출을 위한 사업도 진행 중이다. 하수처리 테스트베드 사업을 통해 콜롬비아 물사업을 수주하는 프로젝트다. 권 원장은 “대구TP가 대구경제의 미래를 책임지는 지원기관으로 글로벌 스케일업 성공모델이 되겠다”고 강조했다.
대구=오경묵 기자 okmook@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