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 대화 거론 시점에 '대화론자' 조셉 윤 하차
미국 측 북핵 6자회담 수석대표인 조셉 윤 미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사진)가 북·미 대화가 ‘임박한’ 상황에서 돌연 사퇴한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외교가에선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최대압박 기조 아래 북한과 대화를 이끌고 나갈 수 있는 대북 강경파나 본인의 측근으로 대북정책 특별대표를 교체하려는 수순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윤 대표는 26일(현지시간) 미 CNN방송에 “이 시점에서 은퇴하기로 한 것은 전적으로 내 결정”이라며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이 아쉽다면서도 사임을 승인했다”고 밝혔다. 윤 대표의 사퇴와 관련해 헤더 노어트 미 국무부 대변인은 “북한이 한반도 비핵화에 대한 신뢰할 만한 대화 개시에 동의할 때까지 북한 고립을 위한 최대한의 압박에 근거한 외교적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에 강한 제재와 압박 정책을 펼 수 있는 인사가 필요했다는 설명이다.

윤 대표는 꾸준히 대화를 지지하며 대북 관여정책을 주장해왔다. 민타로 오바 전 국무부 한일담당관은 미국의 북한전문 매체 NK뉴스에 “윤 대표는 외교해법을 선호했고, 이는 트럼프 정부의 정책과 맞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로이터통신은 “트럼프 대통령이 윤 대표에게 외교해법뿐만 아니라 군사 타격이 임박했다는 등 혼합된 메시지를 보내도록 강요했다”고 보도했다.

윤 대표의 퇴진이 한반도 정세를 둘러싸고 미 정부 인사들의 인식 차이를 보여준다는 분석도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13개월이 지나도록 주한 미국대사를 임명하지 않고 있다. 내정자로 알려졌던 빅터 차 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한국석좌는 지난달 낙마했다.

윤 대표는 한국에서 태어나 초등학생 때 미국으로 건너가 1985년 외교관 생활을 시작했다. 주한 미국대사관에서 정무참사관과 정무공사로 두 차례 근무했으며, 미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담당 수석부차관보를 맡아 동아시아 정책을 총괄했다. 2016년 10월 버락 오바마 행정부에서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로 발탁돼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에도 북핵 업무를 맡아왔다.

정인설 기자 surisur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