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논단] 경기침체 시 대책 없는 미국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경기확장 국면은 지속되지 않는데
초저금리 상황에 감세안까지 통과
침체기 국제협력도 기대 어려워"
배리 아이컨그린 < 미국 UC버클리 교수 >
초저금리 상황에 감세안까지 통과
침체기 국제협력도 기대 어려워"
배리 아이컨그린 < 미국 UC버클리 교수 >
![[해외 논단] 경기침체 시 대책 없는 미국](https://img.hankyung.com/photo/201801/07.14327154.1.jpg)
답부터 내놓자면, 특히 미국은 전혀 준비가 안 됐다. 정책 입안자들은 경기 침체 대책으로 금리를 낮추거나 세금을 줄이는 등의 방안을 내놓는 것이 보통이다. 하지만 미국은 정치·경제적인 이유에서 정상적인 대책을 내놓을 준비가 안 돼 있다.
ADVERTISEMENT
Fed는 최근 세 차례의 경기 침체 국면을 거치는 동안 5%포인트 가까이 금리를 떨어뜨렸다. 경기 회복이 느리면 금리를 점진적으로 정상화할 수밖에 없다. 금리를 인하하는 것이 더 일반적인 경향으로 나타나면서 Fed가 대응할 수 있는 폭이 좁아졌다.
원칙적으로 Fed는 다시 양적완화 카드를 꺼내들 수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명한 Fed 이사 중 적어도 한 명은 마이너스 금리를 주장할 수도 있다. 그렇지만 트럼프가 지명한 세 명을 포함해 Fed 이사회는 전임자들에 비해 행동주의자가 적고, 덜 혁신적일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의회는 Fed가 재무제표를 더 확대하는 것에 대해 확실하고 강력하게 비판을 가할 것이다.
ADVERTISEMENT
공화당 의원들은 저소득층에 식비를 지원하는 보충영양보조프로그램(SNAP)부터 축소하려고 할 가능성이 크다. SNAP 다음은 메디케어(노인의료보험제도), 메디케이드(공공의료보험), 그리고 사회보장법 등이 될 수 있다. 정부지출 삭감은 근근이 먹고 사는 소비자들에게 직접적인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고, 이들이 지출을 줄이면 총수요도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 주 정부는 주세와 지방세 공제에 새롭게 설정된 한계에 맞춰 예산을 삭감하기 위해 실업수당 지급 기간이나 식량 지원 프로그램을 축소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가능성이 짙다. 유럽이나 일본 등 외국의 중앙은행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금리를 인하할 만한 여유가 거의 없기 때문에 글로벌 환경이 미국에 우호적인 것도 아니다.
2008~2009년 발생한 글로벌 경제 위기를 멈춘 것은 국제 협력이었다. 하지만 그 범위가 현재는 현격히 줄었다. 한때의 동맹국을 적국으로 취급하는 트럼프 대통령의 ‘아메리카 퍼스트’ 아젠다 때문이다. 다른 국가들은 미국의 판단과 의도를 믿을 경우에만 다음 경기 침체기에 미국과 함께 일할 것이다.
ADVERTISEMENT
ⓒProject Syndicate
정리=추가영 기자 gychu@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