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신용대출이 가계대출 증가세를 주도하고 있는 가운데 금융기관들이 고신용자 위주로 대출을 취급하려는 경향도 강해진 것으로 분석됐습니다.한국은행이 14일 발표한 `금융안정보고서(2017년 12월)`에 따르면 지난 9월 말 국내 금융기관의 가계 신용대출 규모는 212조9천억원으로 전체 가계대출의 18.1%로 나타났습니다.업권별로는 은행이 56.8%, 비은행금융기관이 38.1%, 대부업체가 5.1%를 차지했습니다.신용등급별로는 고신용자(1~3등급) 대출이 56.4%, 중신용자(4~6등급)와 저신용자(7~10등급) 대출이 각각 31.7%와 11.9%로 집계됐습니다.2015년부터 올해 9월까지 고신용자 대출 비중은 8.7%p 늘며 크게 확대된 반면, 중·저신용자의 대출비중은 각각 6%p, 2.7%p 축소됐습니다.금융기관이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면서 신용도가 높은 고객들을 중심으로 신용대출을 취급한 결과로 풀이됩니다.금융권별 가계신용대출 금리는 은행이 4%대 후반, 상호금융은 6%, 카드사 14%대 후반, 여타 비은행금융기관은 20% 안팎의 수준이었습니다.신용등급별 금리수준은 은행은 고신용자 3.9%, 중신용자 4.6~7.6%, 저신용자 8.9%로 나타나 신용도에 따른 대출금리 차이도 여전했습니다.특히 중신용자 대출금리는 은행(4.6~7.6%)에 비해 비은행금융기관(13.4~22.5%)이 3배 정도 높아 업권간 금리 격차도 여전히 컸습니다.한국은행 측은 가계신용대출 시장에서 정보 비대칭성을 축소하려는 노력이 필요하고 최근 인터넷은행 출범 등 경쟁환경 변화가 중·저신용자의 차입 여건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진단했습니다.정원우기자 bkjung@wowtv.co.kr한국경제TV 핫뉴스ㆍ허경영, 롤스로이스 타고 ‘하늘궁’ 생활…호화판 뒤 진실은?ㆍ송혜교, 독보적인 은광여고 `3대 얼짱` 시절 미모ㆍ`무한도전` 김태호 PD, 부장 승진했다ㆍ‘강식당’ 오므라이스, 대체 얼마나 맛있으면?ㆍ몰카로 2년 간 `친구 부부 화장실 훔쳐본` 30대ⓒ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