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모증, 특히 안드로겐성 탈모를 동반한 사람일지라도 후두부와 측두부 모발은 가늘어지나 쉽게 빠지지 않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영구영역의 개별 모낭은 다른 부위에 이식하여도 공여부 우성 (donor dominance)의 성질에 따라 고유의 특성을 유지한다. 모발이식은 바로 이 개념을 이용한 치료법으로 이식된 모발은 영구히 자라는 성질을 보인다.

모발이식의 과정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모발을 적절하게 재배치하는 과정으로 남성형 또는 여성형 탈모증, 화상 또는 수술 흉터 등의 반흔 탈모증, 눈썹 또는 음부의 무모증과 감모증 등으로 인해 모발이 소실되어 개선할 필요가 있을 때 널리 시행된다.

한정된 모발을 가지고 마치 전체 모발이 증가된 것과 같은 효과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이식술의 숙련도도 증요하지만 빼놓을 수 없는 것 중의 한가지가 바로 시술자의 치밀한 계획과 미적 감각이다. 대상환자와의 충분한 대화와 검진을 통해서 최종적인 목표를 정하고 보다 자연스러운 결과를 얻기 위한 디자인 구상도 다각도로 모색해야 한다. 그리기 위해서는 탈모 환자의 탈모 양상, 탈모 진행속도, 모발 밀도 및 굵기, 환자의 기대치 등을 분석해야만 한다.

모발 이식의 방법은 현재 채취방법(절개식, 비절개식, 로봇)이나 이식방법(식모기, 절개/삽입)들에 따른 분류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모발 이식과 이식 후 탈모관리
1.절개식( Strip Method) 모발이식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으로 후두부에 위치하고 있는 영구영역의 모발을 포함한 두피를 1-1.5츠의 폭으로 필요한 길이로 절제한 다음 모낭단위 혹은 단일모로 모발을 분리하여 이식하는 방법이다. 약 1,500-2,500개 정도의 모발을 이식할 경우 10~15cm정도의 길이로 절제를 하게 되지만 환자의 공여부 밀도에 따라 채취되는 모발의 수가 다를 수 있다. 너무 욕심히 과해서 넓은 폭으로 절제를 하거나 두피의 탄력석이 무족할 경우 선상의 흉터가 크게 남을 수 있어 주의를 요한다. 뿐만 아니라 미리 몇 개를 심을지 계산하기가 어렵고 일단 절개해서 나온 모발을 다 심게 되므로 생각보다 모발이 부족하거나 남을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2.비절개식 (Follicular Unit Extract, FUE) 모발이식

최근 널리 사용되기 시작하였으며 천공이식술 (Punch graft)을 아주 정밀하게 하는 방법을 얘기하고, 0.8~1.2mm의 작은 펀치를 이용해서 모낭을 직접 채취하여 수여부에 옮겨심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선상의 흉터를 남기지 않고, 통증도 적고, 공여부의 흉터도 빨리 아무는 장접이 있지만, 수술시간이 길고 수술이 익숙해지기 전에는 펀치에 의해 모발이 절단되는 절단율이 높아져서 효율성에 문제가 있을 수 도 있다. 모터가 달린 전동펀치를 이용할 경우 보다 빠른 시술이 가능하여 숙련된 의사의 경우 1,000모낭을 이식한다면 수술시작부터 끝까지 약 6시간 정도가 소요되지만, 이식 부위에 따라 시간은 더 단축될 수도 있고, 더 연장되는 중노동이 될 수도 있다.

이식 후 탈모관리

수술 후 수술과 무관하게 기존에 있었던 모발이 빠지기도 한다. 생강기 혹은 휴지기 탈모증의 일종인 이 탈모는 대개 일시적이다. 수술 후 기존에 받아 왔던 국소 또는 경구 탈모 치료는 유지하는게 좋다. 남성의 경우 대개 안드로겐성 탈모가 원인이 되므로 finasteride 또는 dutasteride성분의 약물을 수술 전부터 복용토록 하고, 수술 당일을 포함하여 중단하지 말고 계속 복용토록 한다.

꾸준히 건강한 모발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두피 모발 관리를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현재 여러 두피 모발 관리 레이져 및 치료가 시행되고 있지만 현재 헤어셀을 이용한 자기장 치료가 각광받고 있다.

전기 자극은 세포의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는 복잡한 전기적 시스템을 통해 손상된 것을 복구, 재생한다. 헤어셀은 장비내의 발생장치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을 이용하여 미세혈관의 혈류량을 증가시키고, 세포 재생, 복구 과정을 통해 모낭세포를 활성화하여 증모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일주일에 한번 단 12분 치료로 통증 없이 진행 되어 환자들이 부담없이 치료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경닷컴 뉴스팀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