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디지털 치의학산업 육성 박차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부산에 치의학 산업단지 조성…국립연구원 유치 추진
부산시가 치의학 산업단지를 조성하고 치의학산업연구원 유치에 나서는 등 치의학 산업 육성에 나섰다.
부산시는 고령화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비해 치의학산업을 지역 핵심산업으로 육성하기로 하고 치의학산업 육성 마스트플랜을 수립했다고 25일 발표했다.시 관계자는 “정형 외과용 및 신체보정용 기기제조업은 부산의 입지계수가 1.59로 17개 시도 중에서 가장 높다”며 “이를 살려 치의학 분야를 부산의 전략산업으로 키워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부산은 전국 주요 도시 가운데 가장 먼저 고령사회에 진입하면서 치과 진료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오스템, 디오, 디디에스 등 치과 의료기기 전문업체가 부산에 거점을 두고 있고 부산대 치의학전문대학원, 치의학 대학, 기계·재료·바이오 학과 등에서 전문 인력이 풍부해 치의학산업 발전을 위한 여건을 갖춘 점을 활용하겠다는 전략이다.
부산시는 해운대구 제 2센텀 도시첨단산업단지에 10만㎡ 규모의 치의학첨단융합 산업단지를 조성한다. 이곳에 2022년까지 기업지원센터, 임대형 공장, 소규모 시험설비인 파일럿 플랜트 등 기업 지원시설을 건설해 치의학산업 관련 민간기업을 유치한다.디지털 보철 서비스센터, 치과 의료기기 시험평가센터와 임상시험센터도 만들어 디지털 의료기기 개발을 지원할 예정이다.
부산시는 이에 앞서 동남권에 있는 치의학 관련 기업 55개사를 대상으로 치의학 산업단지 입주 의향을 조사한 결과 33개 기업이 입주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부산시는 또 치의학산업연구원 설립 등을 내용으로 하는 치의학산업 육성법안이 지난 8월 국회 상임위원회를 통과함에 따라 치과의사회, 치기공사회, 치위생사회 등과 함께 한국치의학산업연구원 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서기로 했다.치의학산업연구원은 보건복지부 산하 국립연구시설로 치의학기술 연구개발과 연구성과를 보급하는 역할을 한다.조직은 연구기획팀과 개발팀,성과확산팀 등 34명으로 구성할 계획이다.
부산시는 다음달 10일부터 12일까지 대학치과의사협회 종합학술대회를 부산벡스코에서 개최하기로 했다. 대한치과의사협회, 부산치과의사협회와 공동으로 치의학산업연구원 부산 설립을 촉구할 예정이다.국내외 치과의사와 치과 관련업체 관계자, 바이어 등 1만여명이 참가할 예정이다.
부산시는 치의학 첨단융합산업단지 조성으로 생산유발효과 478억원, 부가가치 유발효과 157억원, 취업유발효과 287명 등 경제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또 치의학산업연구원을 유치하면 향후 5년간 생산유발효과 630억원, 부가가치 유발효과 242억원, 취업유발효과 371명을 예상했다.
김광회 부산시 건강쳬육국장은 “세계 치과의료기기 시장 규모는 연 6.1%씩 급성장하고 있고 한국의 치과의료기기 수출도 연평균 20% 이상 증가하고 있어 치의학산업이 신성장 동력으로 부상하고 있다”며 “치의학산업 육성 마스트플랜을 성공적으로 실현해 부산을 치의학산업의 메카로 육성하겠다”고 말했다.
부산=김태현 기자 hyun@hankyung.com
부산시가 치의학 산업단지를 조성하고 치의학산업연구원 유치에 나서는 등 치의학 산업 육성에 나섰다.
ADVERTISEMENT
부산은 전국 주요 도시 가운데 가장 먼저 고령사회에 진입하면서 치과 진료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오스템, 디오, 디디에스 등 치과 의료기기 전문업체가 부산에 거점을 두고 있고 부산대 치의학전문대학원, 치의학 대학, 기계·재료·바이오 학과 등에서 전문 인력이 풍부해 치의학산업 발전을 위한 여건을 갖춘 점을 활용하겠다는 전략이다.
부산시는 해운대구 제 2센텀 도시첨단산업단지에 10만㎡ 규모의 치의학첨단융합 산업단지를 조성한다. 이곳에 2022년까지 기업지원센터, 임대형 공장, 소규모 시험설비인 파일럿 플랜트 등 기업 지원시설을 건설해 치의학산업 관련 민간기업을 유치한다.디지털 보철 서비스센터, 치과 의료기기 시험평가센터와 임상시험센터도 만들어 디지털 의료기기 개발을 지원할 예정이다.
ADVERTISEMENT
부산시는 또 치의학산업연구원 설립 등을 내용으로 하는 치의학산업 육성법안이 지난 8월 국회 상임위원회를 통과함에 따라 치과의사회, 치기공사회, 치위생사회 등과 함께 한국치의학산업연구원 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서기로 했다.치의학산업연구원은 보건복지부 산하 국립연구시설로 치의학기술 연구개발과 연구성과를 보급하는 역할을 한다.조직은 연구기획팀과 개발팀,성과확산팀 등 34명으로 구성할 계획이다.
부산시는 다음달 10일부터 12일까지 대학치과의사협회 종합학술대회를 부산벡스코에서 개최하기로 했다. 대한치과의사협회, 부산치과의사협회와 공동으로 치의학산업연구원 부산 설립을 촉구할 예정이다.국내외 치과의사와 치과 관련업체 관계자, 바이어 등 1만여명이 참가할 예정이다.
ADVERTISEMENT
김광회 부산시 건강쳬육국장은 “세계 치과의료기기 시장 규모는 연 6.1%씩 급성장하고 있고 한국의 치과의료기기 수출도 연평균 20% 이상 증가하고 있어 치의학산업이 신성장 동력으로 부상하고 있다”며 “치의학산업 육성 마스트플랜을 성공적으로 실현해 부산을 치의학산업의 메카로 육성하겠다”고 말했다.
부산=김태현 기자 hyun@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