썰렁한 캠퍼스 '수두룩'… 일본, 정원 못채운 사립대 보조금 깎는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일본 정부가 정원을 채우지 못하는 사립대에 보조금을 줄이는 방안을 검토하고 나섰다. 인구 감소로 사립대학의 40%가량이 정원을 채우지 못하고 있는 만큼 보조금에 연명하는 ‘좀비 대학’을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것이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20일 “일본 재무성과 문부과학성이 정원 미달이 이어지는 사립대에 보조금을 줄이고 학생 충원에 심각한 문제가 있을 경우 아예 보조금 지급을 중단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재무성과 문부과학성은 이 같은 방안을 내년도 예산 편성에 반영할 계획이다. 일본 정부가 사립대 지원을 줄여나가고 있는 것은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젊은 층 인구 감소로 정원을 채우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도 정부가 정원 충족률, 수업료 수입 대비 연구비 비율 등을 기준으로 보조금 증감 여부를 결정하고 있지만 정부 지원을 받는 사립대 중 40%가량이 5년 연속 정원 미달을 기록했다. 이에 재무성은 정부 보조금에 의존하는 대학 경영에 한계가 왔다고 판단해 2018년도부터 보조금 지급 요건을 엄격히 할 방침이다. 정원 미달이 수년간 지속됐거나 경영 상황이 개선되지 않은 곳의 보조금 중단도 검토할 방침이다.
학술논문 수를 기준으로 교육의 질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새로운 기준을 마련해 높은 평가를 받은 사립대에는 보조금을 늘릴 계획이다.
일본 정부의 2017년도 예산에서 사립대 보조금은 3152억엔(약 3조3050억원)에 달한다.
도쿄=김동욱 특파원 kimdw@hankyung.com
니혼게이자이신문은 20일 “일본 재무성과 문부과학성이 정원 미달이 이어지는 사립대에 보조금을 줄이고 학생 충원에 심각한 문제가 있을 경우 아예 보조금 지급을 중단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ADVERTISEMENT
현재도 정부가 정원 충족률, 수업료 수입 대비 연구비 비율 등을 기준으로 보조금 증감 여부를 결정하고 있지만 정부 지원을 받는 사립대 중 40%가량이 5년 연속 정원 미달을 기록했다. 이에 재무성은 정부 보조금에 의존하는 대학 경영에 한계가 왔다고 판단해 2018년도부터 보조금 지급 요건을 엄격히 할 방침이다. 정원 미달이 수년간 지속됐거나 경영 상황이 개선되지 않은 곳의 보조금 중단도 검토할 방침이다.
학술논문 수를 기준으로 교육의 질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새로운 기준을 마련해 높은 평가를 받은 사립대에는 보조금을 늘릴 계획이다.
ADVERTISEMENT
도쿄=김동욱 특파원 kimdw@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