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재해 안전지대 만들자] 산사태 예방지원본부설치…인명·재산 피해 제로화 총력
산림청은 여름철 자연재난 대책기간(5월15일~10월15일)에 산사태 예방·대응을 위해 산사태예방지원본부를 지난달 설치했다. 지원본부는 산림청장이 본부장이며 전국 산사태 등 산림재해 상황을 총괄 지휘하고 산사태 위기경보를 수준별로 탄력 운영한다. 지원본부는 장마 전까지 산사태취약지역 생활권 사방사업을 시행하고 주민대피 체계 구축 등 관리상황을 보완하며 집중호우, 태풍 등 기상악화에 따른 산사태 예측정보를 전달하고 대응체계를 마련한다.

산림청 관계자는 “지원본부는 산사태 발생 시 관련 기관과 긴밀한 협조체제를 구축해 신속한 대응과 상황관리, 피해지 조사 및 복구 등 산림재해 상황에 대한 컨트롤타워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

산림청에 따르면 지난 10년간(2007~2016년 평균) 238㏊의 산사태가 발생해 5명의 인명피해와 446억원의 복구비가 들었다. 최근 산사태는 국지성 집중호우 및 태풍 등의 영향으로 시기별, 지역별로 편중되는 경향을 보인다. 10월에도 산사태 피해가 발생한다.

산림청 관계자는 “주로 상류에서 발생한 소규모 산사태가 계곡부에서 토석류로 확대돼 생활권지역에 대규모 재해를 유발시킬 우려가 높다”고 말했다.
[산림재해 안전지대 만들자] 산사태 예방지원본부설치…인명·재산 피해 제로화 총력
산림청은 올해 산사태를 줄이기 위해 4개 분야 15개 과제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종합대책을 마련했다. 산사태 발생 우려 지역 3500곳에 대해 실태조사를 벌여 연 2회 이상 현지점검에 나서고 있다. 지역에 따라 보수·보강 및 응급조치 등 필요한 예방조치를 하고 있다. 산사태취약지역 주변 거주민에 대한 비상연락번호 현행화, 대피장소 지정 등 대피체계도 구축하고 주민을 상대로 교육과 홍보활동을 벌이고 있다.

산사태현장 예방단도 확대·운영한다. 4명이 1개단으로 전국 163개단(652명)이 예방활동을 하고 있다. 지난해 88개단(352명)보다 두 배 가까이 늘었다. 사방사업도 장마 전 완료하기로 했다. 사방댐 688개소, 계류 보전 460㎞, 산지사방 222㏊, 산림유역관리 4개소에 대한 사방사업이 마무리 중이다.

산림청은 산악기상관측망도 늘리고 있다. 전국 150곳인 산악기상관측망을 2021년까지 620곳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의 산사태 예측·분석 센터도 가동했다.

산림지역 토양에 함유된 물의 상대적인 양(토양함수지수)을 분석해 각 기준치의 80%에 도달하면 산사태 주의보를, 100%에 이르면 산사태 경보 예측치를 산림청에 전달한다. 산림청은 이를 각 지방자치단체에 보내고 지자체는 산사태 예측정보와 지역상황 판단회의를 거쳐 산사태 주의보 및 경보를 발령한다.
산사태 예방을 위해 산사태현장예방단이 현장을 조사한 뒤 사방댐(아래 사진)을 설치하면 산사태를 예방할 수 있다. 산림청  제공
산사태 예방을 위해 산사태현장예방단이 현장을 조사한 뒤 사방댐(아래 사진)을 설치하면 산사태를 예방할 수 있다. 산림청 제공
산사태 위험을 사전에 감지하는 것도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다. 경사면에서 갑자기 많은 양의 물이 솟을 때는 땅속에 과포화된 지하수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산사태 위험이 커진다. 평소 잘 나오던 샘물이나 지하수가 갑자기 멈출 때는 산 위의 지하수가 통과하는 토양층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산사태 위험이 많다고 볼 수 있다.

갑자기 산허리 일부가 금이 가거나 내려앉을 때는 산사태가 발생할 조짐인 만큼 신속히 대피해야 한다. 바람이 없는데도 나무가 흔들리거나 넘어질 때, 또는 산울림이나 땅 울림이 들릴 때는 산사태가 이미 시작된 것이므로 즉시 대피하고 행정기관에 신고해야 한다.

산사태 주의보와 경보 등 위험예보는 해당 시·군·구(산림부서)에 문의하거나 산사태 정보시스템 또는 산사태 정보 모바일 앱을 이용하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대전=임호범 기자 lh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