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 전쟁 직후 한국에 파견돼 농촌 지역을 중심으로 70년 넘게 사목 활동을 한 프랑스 출신 두봉 레나도(프랑스명 르레 뒤퐁) 주교가 10일 향년 96세로 선종했다.천주교 소식통에 따르면 두봉 주교는 지난 6일 뇌경색으로 안동병원에서 긴급 시술을 받은 후 치료 중이었지만, 기다리던 신자들 곁으로 돌아오지 못하고 이날 생을 마감했다.두봉 주교는 1929년 프랑스 오를레앙의 가톨릭 신자 가정에서 3남 2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21세에 파리외방전교회에 입회한 두봉 주교는 이후 로마 그레고리안 대학과 동 대학원에서 수학하고 1953년 6월 사제품을 받았다.두봉 주교가 한국에 파견된 것은 1954년 12월로, 대전 대흥동천주교회에서 10년간 보좌로 사목했다. 또 대전교구 학생회 지도신부, 가톨릭 노동청년회 지도신부, 대전교구청 상서국장 등을 지냈다.1969년 교황 바오로 6세로부터 주교 서품받고 초대 안동교구장으로 취임해 약 21년간 교구를 이끌다 1990년 12월 퇴임했다.두봉 주교는 '가난한 교회'를 자처하며, 사회적 약자를 위한 활동에 힘썼다.안동교구장으로 재임하던 1973년 경북 영주에 한센병 환자를 위한 다미안 의원이 개원했고, 1978년 12월에는 가톨릭농민회 안동교구연합회가 창립했다.두봉 주교는 어려움을 극복하고 고도성장을 이룬 한국 사회의 변화를 몸소 겪기도 했다. 그는 2023년 6월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휴전 직후의 한국 사회에 대해 "못사는 사람들은 서로가 잘 도왔다. 내일 먹을 것이 없더라도 이웃 사람이 못 먹고 있으면 음식을 나눠 줬다. 어려운 사람들은 조금이라도 좋은 일이 있으면 웃을 줄 알았다"고 회고했다.이어 "어떤 어려움도 극복하고 고통을 이겨
내년 2월부터 산불 실화자에 대한 과태료 부과액이 4배 인상된다.산림청은 산불 실화자에 대한 과태료 부과액이 현행 최대 50만원에서 200만원으로 인상되는 내용을 담은 '산림재난방지법'이 최근 제정, 공포됐다고 10일 밝혔다.이 법안은 지난해 12월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고, 지난 1월 21일 국무회의 의결을 거쳤다. 시행 시점은 법안 공포 후 1년이 지난 내년 2월 1일이다.산림재난방지법에 따르면 산림과 산림 인접지(100m 이내)에서 불을 낼 경우, 과태료가 현행 최대 50만원에서 200만원으로 오른다.산불로 인한 피해에 비해 실화자 과태료가 너무 적다는 지적을 반영했다는 게 산림청의 설명이다.산림재난방지법에는 산림재난 관리 범위를 산림과 인접한 지역까지로 확대하고, 산림청장도 산림재난 발생 시 주민 대피 명령을 지방자치단체에 요청할 수 있다는 내용도 담겼다.현재 주민 대피 명령은 지방자치단체장과 소방서장만이 할 수 있다.산림재난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해 '한국산림재난안전기술공단'을 설립하는 내용도 포함됐다.한국산림재난안전기술공단은 현재 개별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한국산불방지기술협회와 한국치산기술협회, 한국임업진흥원 내 산림병해충모니터링센터 등 산불·산사태·산림병해충을 담당하는 3개 기관을 통합해 설립될 예정이다.내년 2월 1일 산림재난방지법 시행 시점에 맞춰 설립하는 것이 목표다.임상섭 산림청장은 "산림재난방지법이 시행되면 산림재난에 더 통합적이고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면서 "관련 법안이 실효성을 가질 수 있도록 시행까지 남은 기간에 하위법령을 제정하는 등 후속 절차 마련에 집중하겠다"고 말했
택시 승객이 만취한 틈을 타 가짜 토사물을 뿌리고 폭행당했다며 합의금을 갈취해온 택시기사가 경찰에 붙잡혔다. 경찰은 피해자가 160명에 달하고 피해액도 1억5000만원에 이를 것으로 보고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택시기사 A씨는 만취한 승객만 선별해 택시에 승차시켜 장거리 운행을 한 뒤 한적한 곳에 차를 세웠다. 이후 미리 조제한 '가짜 토사물'을 택시 안과 자신의 얼굴 등에 뿌리고선 승객을 깨워 “운전 중 폭행당했다”고 협박했다. 토사물은 A씨가 마트에서 죽, 콜라, 커피 등을 구입 후 섞어 만든 것으로 실제 구토물처럼 보이게끔 위장한 혼합물이었다.A씨는 “운전자 폭행으로 처벌되면 벌금이 1000만원 나온다”며 피해자에게 형사합의금, 세차비, 안경 구입비 등의 명목으로 최대 600만원까지 계좌이체 할 것을 요구했다. 피해자는 대부분 만취 상태였다. A씨는 피해자들이 명확한 상황 인지를 할 수 없는 점을 노려 차량에 블랙박스를 설치하지 않은 채 범행을 반복해왔다. 최근 한 피해자가 “나는 아무리 취해도 토하지 않는다”며 억울함을 호소한 것이 수사의 실마리가 됐다. 피해자의 진술을 귀담아들은 경찰이 과거 동일 수법으로 구속된 전력이 있는 A씨의 외모를 기억해냈고, 형사들이 만취한 척 택시를 타고 미행한 끝에 그를 현장 검거했다.서울 종암경찰서는 지난 1일 상습 공갈 혐의로 택시기사 A씨를 구속했으며 전날 해당 사건을 서울북부지검에 송치했다고 10일 밝혔다. 그는 약 1년간 서울·경기·충청 일대에서 이 같은 수법으로 승객에게 합의금을 뜯어낸 것으로 조사됐다.경찰 관계자는 "동일 수법으로 피해 보신 분은 신고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