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릿고개 넘는 대학들 "등록금 동결, 더 이상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문재인 교육정책 전망
'실질적 반값등록금' 의지
대학 등록금 7년째 동결·인하
'실질적 반값등록금' 의지
대학 등록금 7년째 동결·인하

이명박 정부는 반값등록금 논의를 대학구조개혁과 연계했다. 감사원은 전국 113개 대학을 대상으로 사상 초유의 ‘대학 등록금 책정 및 재정운용 실태’ 감사를 벌였다. 대학들의 뻥튀기 예산 책정, 자의적 예산 편성 등이 고액 등록금을 불렀다는 게 감사 결과였다. 당시에도 대학들은 자율성 침해 등 위헌 소지가 있다며 반발했으나 정부의 드라이브를 막지는 못했다.
ADVERTISEMENT
우선 등록금을 직전 3년간 평균 소비자물가 상승률의 1.5배를 초과해 올릴 수 없도록 한 ‘등록금 인상률 상한제’를 도입했다. 또한 등록금을 인상하거나 장학금 규모를 축소한 대학은 국가장학금 Ⅱ유형 지급 제외를 비롯해 각종 정부 재정지원사업에 참여하지 못하게 했다. 7년째 등록금이 묶여 재정의 ‘실질적 인하’ 피해를 입은 대학들이 “법에 정해진 만큼이라도 등록금을 올릴 수 있게 해 달라”고 탄원하는 이유다.
정부가 대규모 감사로 도덕성에 타격을 입힌 뒤 정책적으로 압박하면서 돈줄까지 막아 대학들을 옴짝달싹 못하게 만든 셈이다.
ADVERTISEMENT

문재인 대통령은 후보 시절 “임기 내 고등교육 재정을 OECD 평균까지 끌어올리도록 노력하겠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재원은 ‘고등교육재정교부금법’ 제정을 통해 마련하겠다고 했다. 단 이전 정부들도 수차례 이 공약을 내걸었지만 늘 후순위로 밀려 실현가능성에는 물음표가 붙는다.
정부 고등교육 예산 확대가 이뤄지면 반값등록금 문제의 실마리가 풀릴 수 있다. 현재의 ‘소득연계형 국가장학금’은 가계 소득분위별로 차등 지급한다. 정부가 대학생에게 직접 지급하는 Ⅰ유형은 기초생활수급대상자부터 소득 2분위까지의 저소득층에 연간 520만 원, 소득 3분위에 390만 원을 지원한다. 여기까지는 올해 4년제대 연평균 등록금 668만8000원의 반액을 넘어 실제 반값등록금 효과를 내지만 4분위(286만 원)부터는 해당되지 않는다.
ADVERTISEMENT
문 대통령이 공약한 ‘실질적 반값등록금’의 경우 현행 소득연계형 국가장학금의 틀을 유지하되 정부가 부담하는 국가장학금 예산을 증액키로 했다. 연간 3조6000억 원 규모인 국가장학금을 4조8000억 원까지 늘릴 방침이다. 저소득층부터 등록금 전액을 지원하고 단계적으로 다른 소득분위 학생에게도 실제 반값등록금을 적용하겠다는 것이다.
문제는 디테일이다. 문 대통령은 공약집에서 세수 추가징수 예상분, 세출 구조조정 등 재정개혁을 통한 재원 마련 구상을 밝혔다. 현재 등록금 총액 수준 유지를 전제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더 이상의 등록금 동결은 어렵다”는 게 새 정부를 맞은 대학들 일성이다.
김봉구 한경닷컴 기자 kbk9@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