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이 인증 획득의 필요성을 알지 못하고 해외 규격인증과 일치하지 않는 제품을 생산할 경우 인증 절차에 따른 생산 중단 및 제품 제조라인 수정 등으로 인해 예상치 못한 큰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수출 시기도 놓칠 수 있다.
인증은 제품이나 서비스 등의 해당 국가 규정 준수 및 적합 여부를 제3자 기관이 입증하는 것으로, 기업은 인증 획득을 통해 제품의 성능과 안전성 등을 증명할 수 있다. 또 제품의 차별성을 강조하고 품질 신뢰도를 높이는 도구로 사용할 수 있다. 많은 국가에서 인증 획득을 의무화하고 있으며 국가별·분야별·제품별로 다양한 종류의 인증이 존재한다. 국내는 KC, 유럽연합(EU)은 CE, 중국은 CCC, 일본은 PSE 등의 강제 규격을 마련해 운영하고 있으며 북미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민간 인증기관인 UL 인증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수출 정보가 부족한 중소기업은 해당 국가에서 요구하는 규제와 인증에 대한 사전 대응이 쉽지 않다. 이에 따라 중소기업 해외 진출 역량을 기르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정부와 민간 기관에 의해 제공되고 있다. 중소기업청은 해외 규격 지원사업을 통해 인증 관련 비용을 지원하며, 지방자치단체도 해외 진출 컨설팅을 지원한다. 전문 글로벌 인증 기관도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제품 설계 단계부터 제조, 수출까지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한 인증 절차를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국가별·기업별로 다른 안전 및 인증 기준에 따라 제품을 테스트하고 검증해 해당 국가 기준에 부합하는 맞춤형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한다.
세계 각국이 무역 기술 장벽을 높이고 자국 보호 정책을 강화하는 등 수출 시장 전망이 불안정하다. 우수한 경쟁력을 가진 중소기업들이 제품 기획 단계에서부터 해외 규격인증을 고려해 효율적인 생산체제 구축 및 마케팅 컨설팅을 통해 글로벌 무대에 안착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이진기 < UL 코리아 세일즈 및 마케팅 총괄 전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