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가 있는 봄] 빙그레, 톨사이즈 대용량 커피…'가성비 엄지척'
국내 커피음료 시장은 2000년대 중반 이후 매년 20% 이상 성장하면서 새로운 블루오션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간편하게 커피를 즐길 수 있는 RTD(ready to drink) 제품도 시장이 커지고 있다. 빙그레는 전문화된 생산시설과 식음료 노하우를 가지고 커피음료 시장에 진출했다. 2007년부터 본격적인 연구개발에 들어가 기존 제품과 차별화하기 위해 용기 디자인과 맛에 집중했다. 기존의 커피음료들이 컵 형태의 용기를 쓴 것과 차별화하는 게 시작이었다.

빙그레는 무균시스템(asepsys)을 적용한 페트 용기에 담긴 커피음료를 제조했다. 캔커피보다 열처리 시간이 짧기 때문에 커피 본연의 향을 살릴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무균충전시스템 설비를 사용하면 맛과 품질을 장기간 보존할 수 있다. 빙그레는 이 새로운 페트 커피음료 제품의 명칭을 ‘커피와 함께’라는 뜻의 이탈리아어 ‘아카페라’로 정했다.

빙그레 아카페라는 아라비카 원두를 사용했다. 1년여에 걸쳐 세계 각지의 원두커피를 대상으로 테스트한 결과 감칠맛이 뛰어나고 향이 풍부한 아라비카 원두가 한국인 입맛에 맞다는 결론을 얻었다. 커피는 일반적으로 원두에 열을 가열해 볶는 과정인 로스팅을 거치면서 향이 결정된다. 빙그레 아카페라는 프렌치 로스팅을 통해 잡스러운 맛을 최소화하고 커피의 깊은 맛을 강조했다. 빙그레 관계자는 “세계 각지에서 원두를 확보하고 로스팅, 배합비 조절 등 원두마다 여러 특성에 맞춰 오랜 기간 테스트했다”고 설명했다. 이런 노력의 결과 빙그레 아카페라는 지난해 약 30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빙그레는 최근 커피음료 시장에 불고 있는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 가용비(가격 대비 용량) 높은 제품을 선호하는 트렌드를 반영해 아카페라 사이즈업 신제품을 출시하고 시장 확대에 나섰다. 닐슨코리아에 따르면 대용량 커피 음료 시장은 2016년 약 1000억원 규모로 전년 대비 400% 성장했다. 같은 기간 전체 커피음료 시장이 18.6% 성장한 것에 비하면 폭발적인 성장세다.

이번에 출시한 아카페라 사이즈업 제품은 아메리카노와 카페라떼 두 가지다. 커피 전문점의 인기 사이즈인 톨 사이즈와 비슷한 용량(350mL)으로 만들었다. 각각 브라질, 콜롬비아산 원두를 사용했다. 기존 아메리카노 자사 제품보다 카페인을 50% 줄였고 기존 카페라떼보다는 당을 50% 줄였다. 가격은 편의점 기준 2000원으로, mL당 가격으로 따지면 업계에서 가장 낮은 수준이다.

빙그레 관계자는 “아카페라는 페트병이라는 독특한 포장 소재와 편의성, 뛰어난 맛으로 국내 시장에서 빠르게 자리를 잡았다”며 “이번에 출시한 아카페라 사이즈업을 통해 대용량 커피 시장도 적극 공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민지혜 기자 spo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