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채권단이 대우조선해양 추가 지원 방안을 발표한 23일 대우조선 직원들이 경남 거제 옥포조선소로 출근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와 채권단이 대우조선해양 추가 지원 방안을 발표한 23일 대우조선 직원들이 경남 거제 옥포조선소로 출근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6조7000억원 규모의 추가 지원안과 함께 대우조선 사업재편 방향을 내놨다. 골자는 두 가지다. 향후 3~4년간 다운사이징(규모 축소)을 통해 대우조선을 강소(强小) 조선사로 탈바꿈시키는 한편 내년부터 매각을 추진하겠다는 내용이다. 대우조선은 연간 매출 규모가 13조원 수준에서 6조원 규모로 쪼그라든다. 중장기적으로는 대형 조선 3사를 ‘빅2(현대중공업·삼성중공업)’ 체제로 전환한다는 밑그림도 제시했다. 그러나 대우조선이 얼마나 경쟁력을 유지할지, 매각이 가능할지 등은 불확실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대우조선 정상화 가능한가

추가 자금 지원안이 집행되면 대우조선의 재무구조는 대폭 개선된다. 지난해 말 2732%인 부채비율은 2021년 말 257%로 낮아지고, 금융권 채무는 5조7000억원에서 2조3000억원으로 줄어들 전망이다.

문제는 재무구조가 나아지더라도 신규 수주가 안 되면 또다시 유동성 위기를 맞을 수 있다는 데 있다. 이번 추가 지원도 지난해 115억달러로 예상한 수주 전망이 10분의 1 수준(15억4000만달러)에 그치면서 급히 마련됐다. 정부는 이에 따라 삼정KPMG의 실사 결과를 토대로 올해와 내년 대우조선 수주 전망을 최대한 보수적으로 정했다. 올해 수주 전망은 20억달러, 내년엔 54억달러로 잡았다. 이 정도면 최악의 상황을 맞더라도 추가 유동성 위기는 없을 것이라는 게 정부 판단이다.

다운사이징도 추진한다. 해양플랜트 부문은 신규 수주를 중단해 점진적으로 사업을 접고 방위산업과 고부가 상선 중심으로 재편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지난해 12조7000억원인 연매출을 2021년까지 6조원 정도로 줄일 방침이다.
[대우조선에 또 혈세] 대우조선 몸집 확 줄여 2년 버틴 뒤 매각…조선 '빅2' 체제로
◆조선 ‘빅3’→‘빅2’로

정부는 대우조선 매각도 추진하기로 했다. 애초 정부는 상선과 방산, 해양플랜트 사업부문을 분할해 별도 매각하는 방안을 검토했으나 사업부문 간 설비·인력을 분리하기 힘들다고 판단해 ‘통매각’을 추진할 계획이다.

하지만 대우조선 매각이 성사될지는 미지수라는 게 업계 관측이다. 대우조선보다 몸집이 작은 STX조선해양도 인수 후보가 없어 지난해 매각에 실패한 바 있다. 잠재적인 인수 후보도 딱히 없는 상태다. 중국 기업이 관심을 보일 가능성이 있지만 방산부문을 해외에 매각하기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는 게 중론이다.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도 인수 여력이 없다. 두 조선사의 작년 수주 실적은 전성기의 10분의 1 수준에 불과했다. 업계에서는 내년 이후 조선 시황이 대폭 개선된다면 한화, 포스코, SK 등이 인수 후보로 나설 것이라는 예측이 있지만 어디까지나 가능성일 뿐이다. 매각이 안 되면 대우조선은 또다시 채권단의 ‘짐’으로 남을 공산이 크다. 국책은행이 계속 연명시키거나 법정관리로 보내야 한다.

◆우려 커진 ‘저가 수주 경쟁’

대우조선을 일단 살린다는 정부 방침이 ‘저가 수주’ 경쟁만 초래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크다. 당장 해양플랜트, LNG선, 초대형 유조선(VLCC) 등 비슷한 시장을 놓고 대우조선과 경쟁하는 삼성중공업, 현대중공업은 저가 수주에 따른 수익성 악화가 불가피해졌다고 불만을 제기하고 있다.

대형 조선사 관계자는 “중국, 일본과 경쟁하기도 벅찬데 정부 지원을 받는 대우조선과 가격 경쟁을 하느라 수익성이 나빠지고 있다”고 불만을 터뜨렸다. 그는 “대우조선에 지원하는 돈을 우량 조선사에 썼다면 경제적 순기능이 더 컸을 것”이라고 말했다.

안대규 기자 powerzani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