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대북 제재보다 사드 반대에 무게 두는 양상"

미국의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한국 배치에 대한 중국의 격렬한 반발이 국제사회의 대북공조에 균열을 불러오고 있다고 미 언론이 지적했다.

8일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한국과 미국, 일본은 최근 수년간 북한의 핵무기 개발 포기를 위해 중국이 좀 더 강경한 태도를 취할 것을 주문해왔다.

'꾸짖으면서 달래는' 양면 전략에서 벗어나 대북제재에 더욱 적극적으로 동참해야 한다는 것이 세 나라의 일관된 요구였다.

하지만 이달 들어 사드 주한미군 배치작업이 시작되면서 대북공조에 균열이 일어나고 있다.

NYT는 "중국은 핵무기와 미사일 개발에 박차를 가하는 북한보다, 동북아에서 미국의 의도가 무엇인지에 더 큰 우려를 보이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는 이 날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의 기자회견에서 나온 '양비론'에서 여실히 드러난다.

왕 부장은 "이제 양측이 서로를 향해 치닫는 상황에서 빨간불을 켜고 브레이크를 밟아야 한다"며 "북한은 탄도미사일 발사를 중단하고, 미국과 한국도 군사훈련을 멈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북한뿐 아니라 미국도 한반도의 갈등에 책임이 있다는 얘기였다.

미 관료들과 전문가 분석에 따르면 북한 또한 미국의 미사일 방어체계가 국제사회의 분열을 불러오고, 중국과 러시아를 북한에 더 가깝게 할 것이라는 점을 잘 알고 이를 이용하려는 움직임을 보인다.

중국 인민대 청샤오허(成曉河) 교수는 "그들은 미국과 중국이 충돌하고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이 기회를 잡으려 한다"고 말했다.

동북아의 군사적, 외교적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고 있지만, 트럼프 행정부는 아직 전략적인 대비를 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은 이 같은 핵확산 문제를 다뤄본 경험이 전혀 없다.

허버트 R. 맥매스터 국가안보보좌관도 대테러 전쟁의 전문가일지 몰라도 핵무장 국가에는 대처해 본 적이 없다.

제임스 매티스 국방장관은 한미 공조만을 강조하고 있을 뿐이다.

트럼프 행정부 출범 후 최대한 신중한 입장을 보이던 중국 정부도 변화 조짐을 드러내고 있다고 워싱턴포스트(WP)는 분석했다.

겅솽(耿爽) 외교부 대변인은 7일 브리핑에서 "우리는 한·미 사드 배치를 결연히 반대하고 필요한 조치를 결연히 취해 우리의 안보이익을 수호할 것"이라며 "필요한 조치에 따라 발생하는 모든 뒷감당은 한국과 미국이 부담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 출범 후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 등 민감한 문제를 애써 피해왔던 중국 정부 기조의 변화로 읽힌다.

근본적으로는 사드 배치를 중국 군사력에 대한 위협으로 보는 중 정부의 두려움에서 기인한다고 WP는 분석했다.

(서울연합뉴스) 안승섭 기자 ssah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