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하이닉스 인수 후 6년…자신감 얻은 SK "반도체 공격 앞으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LG-SK '반도체 빅딜'
'선택과 집중' LG는 신사업 실탄 6200억원 확보
지분 49% 보유 재무적투자자들 자금 회수 기대
'선택과 집중' LG는 신사업 실탄 6200억원 확보
지분 49% 보유 재무적투자자들 자금 회수 기대
![[단독] 하이닉스 인수 후 6년…자신감 얻은 SK "반도체 공격 앞으로"](https://img.hankyung.com/photo/201701/AA.13214495.1.jpg)
SK그룹이 반도체용 웨이퍼 생산업체 LG실트론을 인수하기로 한 것은 2014년 삼성-한화, 2015년 삼성-롯데를 잇는 주요 그룹 간 또 하나의 ‘빅딜’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대기업에 대한 정치적 압박에도 불구하고 장기적인 경쟁력 확보를 위한 자발적·선제적 사업재편은 늦출 수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재계는 보고 있다.
ADVERTISEMENT
SK그룹은 2011년 채권단으로부터 하이닉스반도체 경영권을 약 3조4000억원에 인수한 이후 반도체를 성장의 주축으로 육성해왔다. 최태원 회장이 2015년 8월 “2024년까지 46조원을 반도체 사업에 투자하겠다”고 밝힌 후 기업 인수합병(M&A)을 통한 수직계열화도 꾸준히 추진했다. 같은 해 11월 반도체용 가스 제조업체 OCI머티리얼즈(현 SK머리티얼즈)를 인수한 게 대표적이다.
(주)LG가 보유하고 있는 LG실트론 지분 51%를 6200억원에 사들이기로 한 것도 소재에서 완제품까지 반도체 밸류체인을 완성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분석된다. LG실트론이 생산하는 실리콘 웨이퍼는 반도체에 반드시 들어가야 하는 원형 기판이다.
ADVERTISEMENT
◆LG, 사업 재편 가속화
이번 빅딜로 LG그룹은 1989년 금성일렉트론을 설립하며 시작한 반도체 사업을 28년 만에 완전히 털어내게 됐다. LG는 금성일렉트론의 사명을 1995년 LG반도체로 바꾸고 1996년 증시에 상장하는 등 반도체 사업을 육성했다. 하지만 외환위기 당시인 1999년 사업 구조조정 과정에서 LG반도체 지분을 현대전자산업에 넘겼다. 당시 빅딜을 통해 탄생한 회사가 현재의 SK하이닉스다. LG는 1990년 동부그룹에서 넘겨받은 LG실트론의 경영권을 유지해왔지만 이마저 SK그룹에 넘겼다. 28년 전 시작한 LG그룹의 반도체 사업이 SK그룹으로 완전히 넘어간 셈이다.
ADVERTISEMENT
◆FI 투자금 회수 어떻게 되나
이번 빅딜이 LG실트론에 투자한 재무적 투자자(FI)들의 투자 회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도 관심사다. 토종 사모펀드(PEF) 운용사인 보고펀드와 KTB PE 컨소시엄은 2007년 동부그룹에서 이 회사 지분 약 49%를 7078억원에 사들였다. 그러나 업황 악화로 LG실트론이 2013년 대규모 영업손실을 낸 뒤 투자금 회수는 요원해졌다. 보고펀드는 인수금융 이자를 갚지 못해 2014년 7월 디폴트(채무 불이행)를 선언했고, 보유 지분(29.4%) 처분권은 채권자인 우리은행에 넘어갔다. KTB PE도 비슷한 상황을 맞았지만 세 차례나 인수금융 만기를 연장하며 버텼다.
ADVERTISEMENT
유창재/노경목/정소람 기자 yoocool@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