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여성CEO들의 경영 철학과 사업내용을 들어보는 기획시리즈 세 번째 시간입니다.오늘은 약학전문대학 교육시장의 독보적인 1위 업체, 메가엠디의 임수아 대표를 만나 여성 기업인으로서의 발자취를 따라가 봤습니다.김보미 기자입니다.<기자>올해 약학전문대학 입문자격시험 일명 PEET 시험 원서를 접수한 학생은 1만6100여 명.매년 의학전문대학원 선발인원이 줄면서 상대적으로 약대의 인기가 치솟자 PEET 교육시장도 덩달아 급성장하고 있습니다.현재 PEET를 포함한 자연계 교육시장은 1000억 원 규모로 추정되는데, 메가엠디는 이중 약 58%에 이르는 시장점유율을 기록하며 업계 1위 자리를 유지하고 있습니다.<인터뷰> 임수아 메가엠디 대표“약학대학, 의·치의학전문대학원, 로스쿨 법학전문대학원 입시를 준비하는 수험생들을 대상으로 사업을 시작했고요. 전문대학원 시장에서 독보적인 시장점유율을 가지고 있습니다.”메가엠디는 전문대학원 입시교육 전문업체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내년에는 공무원 시험, 각종 자격증 시험까지 대비할 수 있는 성인대상 전문교육업체로 발돋움한다는 계획입니다.<인터뷰> 임수아 메가엠디 대표“보육교사, 평생교육사 이런 류의 일반자격증을 취업하는 업체를 저희가 인수했고요. 지난해 10월에는 경찰공무원 사업을 하고 있는 저희 자회사 메가CST를 합병해서…”현재 메가엠디 내 여성직원 비율은 약 45%.여성 직원이 유독 많은 교육업체의 특성을 감안하더라도 그 비중은 꽤 높은 편인데, 임 대표는 여성과 남성의 ‘차이’를 ‘차별’하지 않는 사내 분위기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고 말합니다.<인터뷰> 임수아 메가엠디 대표“출산이나 육아휴직 이런 것들은 당연한 권리이고 그 권리를 행사하는 데 제약이나 불이익은 존재하지 않고요. 관리자로서의 역할 수행이나 승진의 기회 등을 굉장히 형평성 있게 주기 때문에… ”과거 여성 직원으로서 느껴야 했던 아쉬움들을 떠올리며 지금의 내부 직원들만큼은 그러한 부당한 대우를 받지 않아야 한다는 게 임대표의 생각입니다.하지만 지난해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기혼여성 5명 중 1명은 결혼, 임신 및 출산, 육아 등의 이유로 직장을 그만두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그렇다면 임 대표는 어떻게 20여 년동안 경력단절 없이 꾸준히 직장생활을 해올 수 있었던 걸까.<인터뷰> 임수아 메가엠디대표“가정 일에 대한 심리적 부담은 굉장히 커요. 체력도 그렇고 시간도 그렇고 따라주지 않아서…다행히 남편이 저희 사회생활을 적극적으로 동의해주고 있기 때문에…"임 대표는 그 비결로 가족의 이해와 배려를 꼽았습니다.한국경제TV 김보미입니다.김보미기자 bm0626@wowtv.co.kr한국경제TV 핫뉴스ㆍ가수 한혜진 "유부남이던 남편 짝사랑.. 내 이상형"ㆍ`결혼` 바다, 과거 이상형 발언 "착하고 멋있는 사람"ㆍ이승연 "수많은 역경끝에 첫방.. 엄마는 쉰, 딸은 아홉"ㆍ반려견 사료로 매출 1조원 올린 30대 창업자 이야기ㆍ이영선 헌재 출석,, 재판관 질문에도 ‘나몰라라’…이영선 행정관 ‘모르쇠’ⓒ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