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칼럼] 출판유통 혁신 절감케 한 송인서적 부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50억원 정부 지원도 언 발에 오줌 누기
'문방구 어음' 결제하는 관행으론 안돼
송태형 문화부 차장 toughlb@hankyung.com
'문방구 어음' 결제하는 관행으론 안돼
송태형 문화부 차장 toughlb@hankyung.com
![[데스크 칼럼] 출판유통 혁신 절감케 한 송인서적 부도](https://img.hankyung.com/photo/201701/01.13132893.1.jpg)
결국 청산이다. 당장 자금 경색과 서적 유통 마비에 따른 혼란이 불가피해졌다. 중소출판사·서점의 연쇄 타격, 인쇄·제본소 등의 2차 피해도 우려된다. 50억원 규모의 연 1%대 융자 지원 등 정부 대책이 신속하게 이뤄진다고 해도 한 출판인의 표현처럼 ‘언 발에 오줌 누기’다.
ADVERTISEMENT
부도의 여파를 키운 주범은 후진적 출판유통 관행이다. 서적 도매업체 중에 송인서적이 유독 심했다. 이른바 ‘문방구 어음’으로 결제를 했다. ‘7개월짜리’ 어음으로 결제한 경우도 상당수다. 어음 피해 규모가 아직까지 제대로 파악되지 않는 이유다. 출판사들은 이 어음들에 배서해 인쇄소, 제본소 등으로 돌렸다.
보다 심각한 문제는 ‘판매 정보 시스템’의 부재다. 출판사는 도매상을 통해 책을 보내지만 어느 서점에서 어떤 책이 얼마나 팔렸는지 모른다. 그러다 보니 정확한 판매 내역에 따라 이뤄져야 할 대금 결제가 주먹구구식으로, 그것도 출판사 파워에 따라 차별적으로 이뤄졌다.
ADVERTISEMENT
중소서점은 온라인 서점의 급성장과 대형 서점의 유통망 확장 등으로 크게 줄었지만 여전히 소매시장의 한 축이다. 출판시장의 뿌리인 중소서점이 살아야 출판도 산다. 출판사들이 직거래에 비해 수익률이 떨어지고 어음 결제 등 거래 환경이 좋지 않은데도 포기할 수 없는 이유다. 송인서적 부도는 출판사와 중소서점을 연결하는 유통시스템 혁신이 얼마나 시급한지 일깨웠다. 판매정보시스템 구축을 통해 투명한 거래 관행을 확립하는 것이 출발점이다.
송태형 문화부 차장 toughl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