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장이 들려주는 책 이야기] 꿀벌 사회의 민주주의, 어쩌면 인간보다 나을지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생명이 있는 것은 다 아름답다
서형실 < 대전 가오도서관장 >
서형실 < 대전 가오도서관장 >
![[도서관장이 들려주는 책 이야기] 꿀벌 사회의 민주주의, 어쩌면 인간보다 나을지도](https://img.hankyung.com/photo/201612/AA.12995282.1.jpg)
“동물들이 사는 모습을 알면 알수록 그들을 더욱 사랑하게 되는 것은 물론 우리 스스로도 더 사랑하게 된다.”
ADVERTISEMENT
이 책은 크게 네 개의 장으로 구성돼 있다. 첫 번째 장에서는 가시고기의 진한 부성애와 꿀벌 사회의 민주주의, 동물 세계에서 벌어지는 죽음의 의식과 권력 다툼 등을 다룬다. 두 번째 장에선 동물 사회의 열린 경쟁과 동물들의 성(性)에 따른 역할 분담 등을 담고 있다. 세 번째 장에선 호주제 등의 그릇된 인간 사회의 관습을 꼬집으며 동물 세계와 비교한다. 마지막 장은 동물 사회를 보고 배우며 우리 사회가 더불어 가는 사회가 돼야 함을 강조한다.
책 속 주인공은 개미, 꿀벌, 거미, 새, 물고기 등 우리 삶에 친근한 동물들이다. 집단의 이익을 먼저 생각하고 행동하는 개미, 다친 동료를 끝까지 보살피는 고래, 가시고기 아빠의 자식 사랑과 모성애까지 발휘하는 해마 아빠, 정찰벌들과 믿음을 바탕으로 협력하는 꿀벌들. 저자는 동물의 행태와 생태를 통해 인간과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들며 우리의 이기적인 모습을 따끔하게 비판하면서 동물들에게 무엇을 배울 수 있는지 보여준다. 서로 지지해주지 못하고, 부득이한 사정으로 아기를 키울 수 없는 산모가 작은 철제 상자 안에 아기를 두고 갈 수 있게 만든 ‘베이비박스’가 사회적 이슈가 되고, 이기주의가 팽배한 요즈음 많은 것을 느끼게 한다.
ADVERTISEMENT
![[도서관장이 들려주는 책 이야기] 꿀벌 사회의 민주주의, 어쩌면 인간보다 나을지도](https://img.hankyung.com/photo/201612/AA.12995272.1.jpg)
지금 이 시간에도 많은 생명이 공존하며 같은 하늘과 다른 공간, 다른 시간 속에서 함께 살아간다. 책을 읽으면서 살아있는 것들에 대해 다시 자각하게 된다. 짧게나마 그들의 생활을 함께하고 왔다는 기분이 든다.
‘생명의 앎’을 바탕으로 이해와 사랑할 수 있는 변화를 도모하는 기회와 계기를 제공해주는 책이다. (최재천 지음, 효형출판, 268쪽, 1만2000원)
서형실 < 대전 가오도서관장 >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