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 전용창고까지…인천공항 물류경쟁력 '점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토부, 항공물류 강화방안
페덱스·DHL 특송화물
전용 터미널도 짓기로
2020년 물동량 연 300만t
페덱스·DHL 특송화물
전용 터미널도 짓기로
2020년 물동량 연 300만t

국토교통부는 14일 열린 제21차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인천공항 항공물류 경쟁력 강화방안’을 발표했다. 이 방안은 항공화물시장이 신선화물, 전자상거래 등 ‘신(新)성장화물’ 중심으로 바뀌는 데 대응하기 위해 마련됐다. 글로벌 경기침체로 항공 물동량 증가율은 둔화하고 있지만 페덱스 등의 특송화물시장은 커지고 있다.
ADVERTISEMENT
페덱스·DHL 등 글로벌 특송항공 화물터미널도 짓는다. 특송 항공사의 수요에 맞춰 인천공항공사가 화물터미널을 짓고 해당 물류사에 시설을 임대하는 ‘고객 맞춤형 물류창고(BTS:build to suit)’ 방식이 처음 도입된다. 특송 항공사들이 직접 투자보다 전용시설을 빌리는 방식을 선호하는 만큼 추가적인 특송 항공사 유치도 가능할 것이라는 게 국토부의 설명이다.
인천공항의 3단계 물류단지(32만㎡)도 조성한다. 내년 9월 완공 예정인 2단계 조기공급부지(9만㎡)와 합치면 총 41만㎡의 물류단지가 새롭게 마련된다. 물류단지 조성에는 411억원이 투입된다.
ADVERTISEMENT
수출입 화물처리 속도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도 나왔다. 화물 보안·검색능력이 있는 ‘상용화주’는 항공사 보안검색을 받지 않고 스스로 검색할 수 있도록 했다.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항공사가 보안검색을 다시 하지 않기 때문에 운송시간을 절반으로 줄일 수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인천공항 물동량을 2020년까지 연간 300만t으로 늘려 화물 분야 세계 2위 공항으로 자리매김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심은지 기자 summit@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