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론] 탄핵은 헌재에 맡기고 '경제 살리기' 매진해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헌재 심판으로 넘어간 탄핵정국
이젠 정치보다 경제가 더 시급
경제 살리는 게 국민신뢰 얻는 길"
전삼현 < 숭실대 법학과 교수 shchun@ssu.ac.kr >
이젠 정치보다 경제가 더 시급
경제 살리는 게 국민신뢰 얻는 길"
전삼현 < 숭실대 법학과 교수 shchun@ssu.ac.kr >
![[시론] 탄핵은 헌재에 맡기고 '경제 살리기' 매진해야](https://img.hankyung.com/photo/201612/AA.12965393.1.jpg)
이와 관련해 야 3당은 탄핵소추 이전부터 헌재의 탄핵 결정이 날 때까지 촛불시위를 강행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아무래도 지난 8월 헌재가 ‘김영란법’의 위헌여부를 결정하면서 여론조사 결과를 판단기준으로 삼았던 점을 감안한 듯하다.
ADVERTISEMENT
이와 관련해 제3자적 입장에서 객관적으로 대한민국 경제의 현주소를 진단한 OECD의 ‘세계경제전망보고서’를 면밀히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이에 따르면 내년 경제성장률을 지난 6월 대비 0.4%포인트 낮춰 예측한 이유로 글로벌 무역시장 위축, 삼성 갤럭시노트7 생산중단, 정치적 불확실성 급증, 구조조정 지연, 김영란법 시행 등을 들었다. 즉 기업경영 악화, 정치적 혼란, 소비 감소 등을 대한민국 경제의 악재로 진단한 것이다.
물론 성장률이 2.6%가 돼도 우리 경제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정치인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외환위기가 이어지던 1999년과 성장률이 같다는 점을 생각해 보면 어처구니없는 생각으로 비판받아 마땅하다. 어찌 보면 대한민국은 지금 탄핵사태보다 더 급한 경제난이라는 사태를 겪고 있다고도 볼 수 있다.
ADVERTISEMENT
이와 관련해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큰 일이 미국에서 발생했다. 지난 6일 미국 트럼프 대통령 당선자의 말에 따르면 일본 소프트뱅크 손정의 사장이 미국 내 스타트업들에 500억달러를 투자하기로 합의했다는 것이다. 이는 약 58조원에 이르는 규모로 내년 서울시 예산(29조6000억원)과 경기도 예산(19조5000억원)을 합친 금액보다 많은 것이며, 신규 일자리를 약 5만개 창출할 수 있는 금액이라고 한다.
투자 이유에 대해 손 사장은 “트럼프 당선자의 적극적인 규제완화 공약에 미국에서 사업할 기회가 올 것이라고 생각한다”란 말로 대신했다. 즉, 미국이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 것 같아 투자하겠다는 것이다.
ADVERTISEMENT
전삼현 < 숭실대 법학과 교수 shchun@ssu.ac.kr >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