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오른 정부발 구조조정] 철강·유화 설비 줄이라는 정부…"중국 기업만 이득 볼 것" 업계 반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외국사 보고서에만 의존, 산업 죽이는 구조조정"
유화 "글로벌 사업인데 국내 포화라고 줄이라니"
철강 "중국 저가제품 몰려오는데 누구 좋으라고… "
유화 "글로벌 사업인데 국내 포화라고 줄이라니"
철강 "중국 저가제품 몰려오는데 누구 좋으라고… "

◆장관 앞 ‘침묵’…속으론 ‘부글’
ADVERTISEMENT
![[막오른 정부발 구조조정] 철강·유화 설비 줄이라는 정부…"중국 기업만 이득 볼 것" 업계 반발](https://img.hankyung.com/photo/201609/AA.12609556.1.jpg)
정부는 타이어 원료인 합성고무와 각종 파이프용 소재인 폴리염화비닐(PVC)도 공급과잉 품목으로 지목했다. 다만 이들 품목의 생산설비는 축소 대신 추가 증설 금지로 가닥을 잡았다.
정부의 구조조정 방안에 대해 석유화학업계 관계자들은 “공급과잉 사태에 대비해야 한다는 원칙에는 공감하지만 특정 품목을 지정해 감산하라는 결론은 동의하기 힘들다”는 반응을 보였다. 한 석유화학사 CEO는 “TPA 생산설비를 줄이면 그 원료인 파라자일렌(PX) 수요도 줄어들고, 결국 PX 공급과잉 현상으로 이어질 것”이라며 “화학산업이 서로 복잡하게 얽혀 있는데 단순히 특정 제품 공급이 과잉이라는 이유로 설비를 줄이라고 하면 화학업계 생태계가 망가진다”고 비판했다. 다른 CEO는 “국내 석유화학업계는 국내 시장이 아니라 세계시장을 목표로 사업을 하는데, 국내 시장이 포화상태라는 이유로 공급량을 줄이라는 정부 논리는 이해하기 힘들다”며 “후발주자인 중국이 이익을 볼 것”이라고 지적했다.
ADVERTISEMENT
철강산업 구조조정 방안의 핵심은 후판공장 폐쇄다. 철강산업 컨설팅을 벌인 보스턴컨설팅그룹(BCG)은 이날 후판 및 강관 부문 공급이 과잉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정부는 선박이나 건설용 철강재로 쓰이는 두께 6㎜ 이상 철판인 후판의 공급과잉이 심각하다고 진단했다. 조선업계 ‘수주절벽’으로 수요가 급격히 줄어드는 게 불 보듯 뻔한 상황이기 때문에 기존 생산설비를 줄여야 한다는 설명이다.
현재 포스코와 현대제철, 동국제강은 각각 4개, 2개, 1개의 후판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업계는 포스코가 2개, 현대제철이 1개의 후판공장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결론이 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강관 생산시설 역시 줄여야 한다는 게 정부의 결론이다.
ADVERTISEMENT
도병욱/오형주 기자 dodo@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